경문 대왕(景文大王) 이야기
본 문
대왕의 휘(諱)는 응렴(膺廉)이며, 나이 18살 때 화랑의 국선(國仙, 화랑의 우두머리)이 되었다. 약관(남자 나이 20세)에 이르렀을 때, 헌안 대왕이 낭을 궁중으로 불러 잔치를 베풀면서 물었다.
"그대는 국선이 되어 사방을 두루 돌아다니면서 어떤 일들을 보았는가?"
"소인은 행실이 아름다운 세 사람(겸손한 사람, 검소한 사람, 위세를 부리지 않는 사람)을 보았습니다."
"그래? 그 이야기를 좀 들어 보자."
"남의 위에 있을 만한데도 사람이 겸손해서 남의 아랫자리에 앉은 이가 있었는데 이것이 첫째입니다. 또 큰 부자이면서도 검소한 옷차림을 하는 사람을 보았는데 이것이 둘째입니다. 마지막으로 존귀하고 세력이 있으면서도 위세를 부리지 않는 사람이 있었는데 이것이 셋째였습니다."
대왕은 이 말을 듣고 낭의 어짊을 알고 모르는 새에 눈물을 흘렸다.
"내게 두 딸이 있으니 그대의 아내로 맞아 주면 좋겠구나."
낭은 자리를 피하여 절하고 황공스럽게 물러나 부모에게 고하였다. 부모는 이 소식을 듣고 놀랍고도 기뻐서 그의 자제들을 모아 놓고 의논하였다.
"대왕의 맏공주는 아주 못생겼으며 둘째 공주는 매우 아름다우니 둘째 공주에게 장가드는 게 좋겠다."
그런데 응렴이 이끄는 화랑들 중의 우두머리인 범교사가 이 소식을 듣고 낭의 집에 이르러 낭에게 물었다.
"대왕께서 공주를 공의 아내로 삼으라 하셨다는데 사실입니까?"
"그렇습니다." / "어떤 공주에게 장가들려고 합니까?"
"부모님께서는 아우 되시는 분이 좋겠다고 하십니다."
"공계서 아우에게 장가든다면 저는 공이 보는 앞에서 죽을 것이오. 만약 맏공주에게 장가 드신다면 반드시 세 가지 좋은 일(왕 위에 오름, 둘째 공주도 얻게 됨, 첫째를 취하였기 때문에 왕과 부인이 기뻐함.)이 있을 것이니 명심하십시오."
"그 말씀대로 하겠습니다." / 그 뒤에 대왕이 날을 가려 낭에게 사람을 보내어
"두 딸을 공의 의향대로 하겠다." / 하였다. 그 사자(使者)가 돌아와서 맏공주를 맞겠다는 낭의 뜻을 아뢰었다. 그런지 석 달이 지난 후 대왕은 병이 대단하여 군신을 불러 놓고,
"내게는 아들도 손자도 없이 딸뿐이니, 내가 죽은 뒤에는 맏딸의 남편 응렴에게 왕위를 잇게 하시오." / 하였다. 이튿날 마침내 헌안왕은 세상을 떴다. 그리하여 유언에 따라 응렴이 왕위에 올랐다. 이에 범교사가 왕을 뵈옵고 말했다.
"이제 제가 말한 세 가지 좋은 일이 다 이루어졌습니다. 첫째로 맏공주를 맞으셔서 왕위에 오르셨고, 둘째로 아름다운 둘째 공주도 쉽사리 얻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 언니를 맞으셨기 때문에 왕과 부인이 무척 기뻐하셨으니 그것이 세 번째 좋은 일입니다."
대왕은 그 말을 고맙게 여겨 범교사에게 대덕(大德)이라는 벼슬과 함께 황금 130냥을 하사하였다. 대왕이 돌아가자 시호(왕이나 재상들이 죽은 뒤에 그들의 공덕을 칭송하여 붙이는 이름)를 경문이라 하였다.
일찍이 대왕의 침전(寢殿)에는 저녁마다 무수한 뱀이 모여들므로 궁인이 놀라고 무서워 쫓아내려 하니 대왕이 "내가 만일 뱀이 없으면 편안히 자지 못하니 금하지 마라."(여기에서 뱀은 경문대왕의 신변을 안전하게 지키던 화랑 세력이나 또는 육두품을 상징하는 것으로, 경문대왕이 이러한 친위 세력의 보호 아래 정치를 했음을 뜻하는 것임.) / 하였다. 매양 잘 때에는 뱀이 혀를 내밀고 대왕의 가슴을 덮어 주었다.
경문왕은 대왕이 된 뒤부터 귀가 갑자기 길어져서 당나귀의 귀처럼 되었다. 이 사실은 왕비와 궁인이 모두 알지 못하는 비밀이었으나 다만 대왕의 복두장(모자 만드는 사람) 한 사람만이 이 비밀을 알고 있었다.
복두장이는 평생토록 남에게 그 사실을 말하지 않다가, 죽을 때에 이르러 도림사(경북 월성군 내동면 구황리에 있던 절)의 대나무 숲 사람이 없는 곳에 들어가 대를 향해 외쳤다.
"우리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와 같다."(귀족 세력에 의해 아무 근거 없이 널리 퍼진 소문으로 보는 설이 있음.) / 그 뒤 바람만 불면 도림사 대나무 숲에서 / "우리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와 같다." / 하는 소리가 들려왔다. 대왕이 이 소리를 싫어하여 그 대나무들을 모두 베고 대신 산수유(당시 잇따른 자연재해에 지친 국민들을 구휼하고자 함.)를 심게 했다. 그 후에는 바람이 불면 다음과 같은 소리가 들렸다.
"우리 임금님 귀는 길기도 하다."
국선 요원랑 · 예흔랑 · 계원 · 숙종랑 등(경문대왕의 친위 세력인 화랑들)이 금란을 유람할 때, 은근히 임금을 위하여 나라를 다스리려는 뜻이 있어 노래 세 수를 짓고 다시 심필 사지를 시켜 침권(針卷, 종이 20장을 실로 묶은 것)을 주어 대구화상에게 보내어 노래 세 수(나라를 다스리는 방법을 노래한 것으로 가사는 전하지 않고 '삼국유사'에 그 유래만 전하고 있음.)를 짓게 하니 첫째는 현금포곡(玄琴抱曲)이고, 둘째는 대도곡(大道曲)이며, 셋째는 문군곡(問群曲)이었다. 대궐에 들어가 대왕께 아뢰니, 대왕이 크게 기뻐하여 칭찬하고 상을 주었다. 노래는 미상(未詳)이다.
작품 정리
◆ 감상
이 글은 신라의 제48대 왕인 경문 대왕과 관련된 4가지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4가지의 이야기가 병렬적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첫 번째은 화랑 응렴이 첫 번째 공주와 결혼함으로써 왕위를 얻게 되었다는 이야기, 두 번째는 왕이 된 후 잠을 잘 때 뱀이 있어야 편하게 잤다는 이야기, 네 번째는 화랑들이 노래를 지어 바쳤다는 이야기다.
◆ 요점정리
1. 갈래 및 성격 : 설화(민담), 역사적
2. 제재 : 경문대왕의 4가지 일화
3. 주제 : 경문 대왕의 일화로 알 수 있는 혼란한 사회상
4. 의의 : 신라 말의 어수선한 사회상을 알 수 있는 작품임.
5. 출전 : <삼국유사>
'Reading n See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시조 해설]곳치 딘다 하고 ~ -송순- (0) | 2022.05.05 |
---|---|
[고시조 해설]가노라 삼각산아 ~ -김상헌- (0) | 2022.05.05 |
[고전산문/설화 해설] 효녀 지은 설화 - 삼국사기 권48- (0) | 2022.05.05 |
[고전산문/설화 해설]화왕계(花王戒) - 설총 - (0) | 2022.05.05 |
[고전산문/설화 해설]호동 왕자 설화 - 삼국사기 권14 - (0) | 2022.05.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