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ing n Seeing

[고전산문/설화 해설]화왕계(花王戒) - 설총 -

by 휴리스틱31 2022. 5. 5.
728x90

화왕계(花王戒)                   - 설 총 -

 

본 문

 

화왕(花王, 꽃 중의 왕이라 하여 모란을 이름)이 처음 세상에 나왔을 때, 향기로운 동산에서, 푸른 휘장으로 둘러싸여 보호되었는데, 삼춘가절(三春佳節, 봄 석 달 중의 가장 좋은 때, 즉 3월)을 맞아 예쁜 꽃을 피우니, 온갖 다른 꽃보다 빼어나게 아름다웠다.

멀고 가까운 곳에서 여러 가지 꽃들이 다투어 화왕을 뵈오러 왔다. 깊고 그윽한 골짜기의 맑은 정기를 타고난 탐스러운 꽃들과 양지바른 동산에서 싱그러운 향기를 내며 피어난 꽃들이 앞을 다투어 모여들었다.

문득 한 가인(佳人, 아름다운 여자)이 앞으로 나왔다. 불그레한 얼굴에 옥 같은 치아와 신선하고 탐스러운 청색 나들이 옷을 입고 아장거리는 무희(舞姬)처럼 얌전하게 화왕에게 아뢰었다.

"이 몸은 백설의 모래 사장을 밟고, 거울같이 맑은 바다를 바라보며 자라났습니다. 봄비가 내릴 때는 목욕하여 몸의 먼지를 씻었고, 상쾌하고 맑은 바람 속에 유유자적(悠悠自適, 속세를 떠나 아무 것에도 얽메이지 않고 조용하고 편안히 제멋대로 생활하는 일)하면서 지냈습니다. 이름은 장미라 하옵니다. 임금님의 높으신 덕을 듣고, 꽃다운 침소에 그윽한 향기를 더하여 모시고자 찾아왔습니다. 임금님께서 이 마음을 받아 주옵소서."

이 때, 베옷을 입고 허리에는 가죽띠를 두르고, 손에는 지팡이를 들고, 머리는 백발인 장부 한 사람이 침착한 걸음으로 나와 공손히 허리를 굽히며 말했다.

 

 

"이 몸은 서울 밖 한길 옆에 사는 백두옹(白頭翁, 머리가 센 노인, 여기서는 할미꽃)입니다. 아래로는 창망한 들판을 내려다 보고, 위로는 우뚝 솟은 산 경치에 의지하고 있습니다. 가만히 살피건대, 좌우에서 보살피는 신하는 고량(膏梁, 고량진미의 준말로, 기름진 고기와 맛있는 음식)과 향기로운 차와 술로 수라상을 받들어 임금님의 식성을 흡족하게 하고, 정신을 맑게 해 드리고 있사옵니다. 또, 고리짝에 저장해 둔 양약(良藥, 매우 효험이 있는 약)으로 임금님의 원기를 돕고, 금석(金石)의 극약(劇藥, 사람이나 동물에게 위험을 주는 약품)으로써 임금님의 몸에 있는 독을 제거해 드릴 것입니다. 그래서 이르기를, '군자 된 자는 비록 사마(絲麻, 명주실과 삼실)가 있다고 해서 관괴(菅괴, 관과 괴 둘 다 풀 이름으로, 관은 도롱이와 삿갓을, 괴는 돗자리를 짜는 원료)를 버리는 일이 없고, 부족에 대비하지 않음이 없다.'고 하였습니다. 임금님께서도 이러한 뜻을 가지고 계신지 모르겠습니다."

한 신하가 아뢰기를,

"두 사람이 왔는데, 임금님께서는 누구를 취하고 누구를 버리시켔습니까?"
하니, 화왕께서는 이렇게 대답하였다.

"장부의 말도 도리가 있기는 하나, 그러나 가인은 얻기 어려우니 이를 어찌할꼬?"

장부가 앞으로 나와,

"신(臣)이 온 것은 임금님의 총명이 모든 사리를 잘 판단하신다고 들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지금 뵈오니 그렇지 않으십니다. 무릇 임금 된 자로서 간사하고 아첨하는 자를 가까이 하지 않고, 정직한 자를 멀리하지 않는 이는 드뭅니다. 그래서 맹자는 불우한 가운데 일생을 마쳤고, 풍당(한나라 안릉 사람으로, 어진 인재였으나 벼슬이 낭관에 그쳤음)도 낭관으로 파묻혀 머리가 백발이 되었습니다. 예로부터 이러하오니 소신인들 어찌하겠습니까?"
라고 말씀드렸다. 화왕께서는 마침내,

"내가 잘못했다. 잘못했다."
하고 되풀이하였다.

 

 

작품 정리

 

 창작 배경

어느 여름날 신문왕이 설총에게 말하기를,

"오늘은 오던 비도 개었고 시원한 바람도 불어오니, 비록 진수성찬과 서글픈 음악이 있으나 고상한 이야기와 멋있는 익살로 울적한 마음을 푸는 것이 좋을 것 같소. 그대는 기이한 이야기가 있거든 나를 위하여 이야기하여 주지 않겠는가?"
하였다. 이에 설총이 옛날 이야기 하듯이 왕에게 들려 준 이야기가 바로 '화왕계'이다.

왕은 이 이야기를 듣고 쓸쓸한 표정을 짓고 말하기를,

"그대의 우언(寓言)에는 참으로 깊은 뜻이 있으니 청컨대 이를 써 두어 임금 된 자를 경계하는 말로 삼으리라."
하고 설총에게는 높은 벼슬을 주었다.

 

 감상 및 해설(등장 인물을 중심으로)

이 설화에는 모란을 의인화한 '화왕'과 간사하고 아첨하기 좋아하는 신하로 의인화된 '장미', 그리고 소박하고 충직한 신하로 의인화된 할미꽃 '백두옹' 등 세 인물이 등장한다. 화왕은 간신들의 아름답게 꾸민 말에만 귀기울이면서 그들을 가까이하고, 바른말을 하는 사람들은 멀리하는 군주의 상징이다. 그리고 장미는 교태와 외형상 아름다움을 내세워 임금에게 아첨하는 간신을 상징하며, 백두옹은 외모는 소박하지만 충직한 신하의 상징이다.

이 설화에서 중심적 역할을 하는 인물은 백두옹이다. 설화의 주제 의식이 집약되어 있는 부분이 백두옹의 마지막 대사에 있기 때문이다. 그가 입은 베옷은 검소한 차림을 나타낸 것이며, 가죽띠를 둘렀다는 것은 서민이 아님을 뜻한다. 그리고 지팡이를 든 백발이라는 것은 왕의 스승이 될 만한 연륜을 쌓은 원숙한 나이를, 침착한 걸음은 무게 있는 인품을 표현한 것이다. 이러한 백두옹의 외형은 그가 임금에게 충간을 할 만한 인물임을 암시한 것이다. 백두옹의 말하기 방식의 특징으로는, 다양한 논거를 든 치밀성, 비유에 의한 설득의 용이성, 화왕에 대하여 예의를 갖춘 완곡한 어법 등을 들 수 있다.

 

 

 핵심 정리

1) 갈래 : 설화(창작 설화) - 풍자적, 우화적

2) 성격 : 의인체 문학의 효시, 우화

3) 주제 : 임금의 마음가짐에 대한 경계

4) 의의 : 최초의 창작 설화, 가전체 문학의 모태가 됨.

5) 출전 : <삼국사기> 권 46 열전 '설총조'

6) 작가 : 설총(생몰 연대 모름)

신라 신문왕 때의 한문학자. 고승 원효와 요석 공주 사이에서 태어났다고 전해지며 경주 설씨의 시조이다. 신라 십현(十賢) 중의 한 사람으로 한림을 지냈으며, 주로 왕의 자문 역할을 하였다. 당시의 최고 교육 기관인 국학(國學)에서 구경(九經)을 우리말로 가르쳤으며 이두를 집대성하여 경서에 토를 달아 읽는 방법을 창안하였다. 강수, 최치원과 더불어 신라 3대 문장가로 일컬어진다.

 

 목적문학으로서의 성격

<화왕계>는 권모술수가 횡행하는 정치 세계를 대자연계의 꽃의 세계에 비유하여 간결하고 쉽게 설명한 우화이다. 그러면서도 아름다운 장미와 소박한 할미꽃을 대립시켜 왕의 심중을 시험해 보는 상황 설정을 하고, 백두옹을 작가(설총)의 대리인으로 등장시켜 주제를 밝히는 전개 방식이 다분히 문학적이다. 부귀에 안주하여 요망한 무리들을 가까이하지 말 것을 임금에게 당부하고자 하는 교훈성과 목적성이 문학적인 구조로 잘 포장이 되어 있는 뛰어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