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ing n Seeing

[고시조 해설]매화사 -안민영-

by 휴리스틱31 2022. 5. 8.
728x90

매화사                           -안민영-

 

 

 

 [ 현대어 풀이 ]

 

<1수>

매화 그림자 비친 창에 가야금을 타는 미인이 비스듬히 앉아 있는데 / 두어 명의 노인은 거문고를 뜯으며 노래하는구나. / 이윽고 술잔을 들어 서로 권할 때 달이 또한 솟아 오르더라.

<2수>

연약하고 엉성한 매화 너를 (어찌 꽃을 피울까 하고) 믿지 아니하였더니 / 눈 오면 피겠다는 약속을 능히 지켜 두세 송이 피었구나 / 촛불 잡고 가까이 사랑할 때(완상할 때) 그윽한 향기조차 떠도는구나.

<3수>

빙자옥질(얼음같이 맑고 깨끗한 모습과 구슬처럼 아름다운 바탕)이여, 눈 속에 피어난 바로 너로구나. / 가만히 향기를 풍기며 저녁에 뜨는 달을 기다리니 / 아마도 아치고절(아담한 풍치와 높은 절개)는 너뿐인가 하노라.

<4수>

눈 올 때쯤 피우겠다고 하더니 너 과연 피었구나. / 황혼에 달이 뜨니 그림자도 듬성하구나. / 매화, 너의 맑은 향이 술잔에 어리었으니 취해 놀고자 하노라.

 

 

<5수>

황혼에 뜬 달은 미리 너와 만날 기약을 하였더냐? / 쪽문(방안)에 잠든 꽃이 향기를 풍기며 맞이하는구나. / 내 어찌 달과 매화가 벗인 줄 몰랐던가 하노라.

<6수>

산바람이 눈을 몰고 와서 산가(山家)의 창문에 부딪치니, / 찬 기운이 방으로 새어 들어와 잠든 매화를 괴롭히는구나. / 아무리 (추운 날씨가 매화 가지를) 얼게 하려 한들 봄이 찾아옴을 알리겠다는 의지야 빼앗을 수 있겠는가.

<7수>

저 건너 나부산 눈 속에 거무튀튀 울퉁불퉁 광대등걸아, / 너는 무슨 힘으로 가지를 돋쳐서 꽃조차 피웠는가? / 아무리 썩은 배가 반만 남았을망정 봄 기운을 어찌하리오.

<8수>

동쪽에 있는 누각에 숨은 꽃이 철쭉인가 진달래꽃인가. / 온 천지가 눈이거늘 제 어찌 감히 피겠는가. / 알겠도다, 흰 눈이 날리는 겨울인데도 봄빛을 보이는 것은 매화밖에 그 누가 있으리.

 

[ 이해와 감상 ]

 

이 연시조는 매화사(梅花詞) 또는 영매가(詠梅歌)로 불리는데, 가객 안민영이 55세 때 지은 것으로 모두 8수로 되어 있다. 지은이가 1870년(고종 7년) 그의 스승 박효관의 운애산방(運崖山房)에서 기생과 더불어 놀 때, 마침 박효관이 가꾼 매화가 피어 향기가 방 안을 진동하므로 이에 이 노래를 지었다고 한다.

<1수> 풍류를 즐기는 백발옹의 모습이 드러나며, 제1수에서 '매화'는 배경으로만 제시되고 있다.

<2수> 초장에서는 매화를 의인화하고 있다. 중장은 원래 매화는 눈이 내리는 늦겨울이나 초봄에 피는데 눈이 내릴 때 꽃을 피우겠다는 약속을 지켜 매화가 피었다는 의미이다. 매화에 대한 대견함과 반가움을 드러내고 있다. 종장에서는 두세 송이의 매화를 보다가 자세히 보기 위해 촛불까지 들고 가까이 다가가 그윽한 향기에 매료된 모습을 통해 매화에 대한 화자의 애정이 드러난다.

<3수> 초장에서 '매화'를 아름다운 여인에 비유하며, 이는 제2수에서 매화에 인격을 부여한 것에서 나아가 매화를 화자와 대등한 인격체로 다루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중장은 달빛을 받은 매화의 모습이 햇빛을 받은 그 모습보다 아름답기 때문에 황혼월을 기다린다는 의미이다. '빙자옥질'과 '아치고절'은 매화에 대한 화자의 주관적 인식을 집약적으로 표현한 시어이다.

<4수> 제1수와 2수를 합쳐놓은 듯한 느낌이 든다. 매화는 신의를 지켜 눈 속에서도 꽃을 피우는 강인한 모습을 지니고 있으며, '달'과 '술잔'은 매화를 즐기는 흥취를 더해주는 역할을 한다.

<5수> 초장에서는 달과 매화의 어우러짐(조화)을 달과 매화가 약속이라도 한 듯하다고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달과 매화의 어우러짐을 종장에서는 '벗'으로 표현하고 있다.

<6수> '눈보라'나 '찬 기운'은 매화가 피어나는 것을 방해하는 요소로 시련을 의미한다. 하지만 아무리 매화를 얼게 하려고 해도 매화가 핌으로써 봄이 왔음을 알리는 것을 막을 수는 없다. 즉, 자연의 이치는 거스를 수 없음을 의미한다. 여기서는 '매화'를 선구자적인 정신을 지닌 존재로 형상화함으로써 매화의 절개를 예찬하고 있다.

<7수> '광대등걸'은 시적 대상으로 '오래된 매화나무'로 볼 수 있다. 초장의 '나부산'이 중국에 있는 산임을 고려할 때, 광대등걸은 화자가 실제 보는 대상이라기보다는 관념 속 대상이라고 할 수 있다.

<8수> 철쭉, 진달래꽃과 달리 눈 속에서도 필 수 있는 꽃은 오로지 매화밖에 없다고 함으로써 매화에 절개, 지조의 의미를 부여하며 이를 예찬하고 있다.

 

 

[ 정리 ]

 

◆ 형식 및 갈래 : 평시조, 연시조(전8수), 영매가

 특성

* 매화를 의인화하여 예찬함.

* 영탄법, 설의법을 통해 주제를 강조함.

 구성

* 1수 → 매화의 그림자와 풍류

* 2수 → 매화의 고결한 성품

* 3수 → 매화의 아름다움과 지조

* 4수 → 달이 뜬 밤에 매화를 즐기는 흥취

* 5수 → 달과 매화의 어우러짐에 대한 감탄

* 6수 → 매화의 강인한 지조와 자연의 섭리

* 7수 → 오래된 매화 등걸에서 느끼는 봄기운

* 8수 → 매화의 높은 절개 예찬

◆ 주제 : 매화 예찬

 출전 : <금옥총부>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