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ing n Seeing

[고시조 해설]바람이 눈을 모라 ~ -안민영-

by 휴리스틱31 2022. 5. 8.
728x90

바람이 눈을 모라 ~                    -안민영-

 

 

[현대어 풀이]

 

  •  바람이 눈을 몰아다가 산 속의 집 창문에 부딪히니,
  • 찬 기운이 집안으로 새어 들어와서 고요히 잠자는 매화를 함부로 건드리는구나!
  • 아무리 얼어 죽이려고 해도 매화가 가진 봄뜻을 빼앗을 수 있겠느냐?

 

[창작 배경]

 

안민영의 <영매가(詠梅歌)>의 하나로서 헌종 6년 어느 겨울날, 그의 스승 박효관의 산방에서 벗과 미녀들과 더불어 거문고 타고 노래 부르며 놀 때, 박효관이 가꾼 매화가 방안에 피어 있는 것을 보고 지은 8수 중의 하나이다.

 

[이해와 감상]

 

깊은 산 속에 채 가시지 않은 겨울 바람이 차가운 눈을 몰고 와도, 이미 봄이 시작되고 있음을 알리는 매화를 어찌할 수 없다는 내용이다. 찬 바람이 아무리 매화를 얼 게 할려고 해도 대자연의 섭리요, 조물주의 조화인 봄이 이미 와서 매화가 방긋이 꽃을 피우려는 봄뜻이 있는데 그것까지는 빼앗을 수 없다는 것이다.

새봄이 돌아오는 자연의 순리를 인정하고 받아들여야함은 매화가 가진 곧은 속성이기도 하다. 아무리 차가운 시련의 겨울 바람이라 해도 피어 있는 매화는 끄떡없다는 의미를 은연 중에 시사한다.

 

[정리]

 

◆ 성격 : 연시조, 평시조, 매화사(梅花詞)

 주제 : 매화 예찬(매화의 굽히지 않는 봄 뜻)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