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ing n Seeing

[고시조 해설]삭풍은 나모 긋희 불고 ~ -김종서-

by 휴리스틱31 2022. 5. 9.
728x90

삭풍은 나모 긋희 불고 ~                                -김종서-

 

<청구, 해동, 가곡원류>

 

[현대어 풀이]

 

  • 매서운 북풍은 나뭇가지를 흔들고, 밝은 달은 하얗게 쌓인 눈 위를 시리도록 비추고 있는데
  • 먼 변방의 장성 위에서 한 자루 칼을 짚고 서서
  • 긴 휘파람을 불며 큰 소리로 호통을 치니, 감히 대적하는 것이 없구나.

 

[창작 배경]

 

조선 초기까지 여진족은 함경도 지방을 비롯한 우리의 변방을 자주 침입하였다. 그래서 세종은 김종서를 함길도 관찰사로 임명하여 여진족을 물리치고자 하였다. 마침내 여진을 격퇴시킨 김종서는 6진을 개척하고, 그곳을 지키며 이 시조를 지었다.

 

[이해와 감상]

 

 "살을 에는 듯한 차가운 북풍은 앙상한 나뭇가지에 윙윙 불어대고, 겨울 밤의 밝은 달은 하얀 눈으로 뒤덮인 대지를 차갑게 비춘다. 서울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국경지대에 있는 외딴성에서 큰 칼을 힘주어 짚고 서서, 북방을 노려보며 긴 휘파람과 크게 한번 질러 보는 고함 소리에 가로막을 것이 아무 것도 없구나."

북풍이 나뭇가지를 울리고, 흰 눈이 온 천지를 뒤덮은 겨울 달 밝은 황량한 밤에, 변경을 지키며 오랑캐를 노려보고 있는 용맹한 장수의 모습이 눈에 선하다. 감격적인 체험이 낳은 시는 이다지도 절절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초장의 표현은 참으로 감각적이고도 인상적인 표현으로 시적인 묘사라 아니할 수 없다. 또한 마지막 종장에는 긴 휘파람을 불며 큰 뜻을 생각하고 숨을 들이마시는 용맹스런 장군의 기상이 집약되어, 아무것도 거칠 게 없는 대장부를 잘 묘사하고 있다.

 

[ 정리 ]

 

 성격 : 고시조, 평시조, 호기가(豪氣歌), 충절의 노래

 표현 : 대구적 표현(초장의 삭풍과 명월), 직설적 표현(종장)

◆ 주제 : 나라를 지키는 대장부의 호방한 기개

 특징 : 음풍농월(吟風弄月)식의 관념화된 문관들의 시심(詩心)에서 한 걸음 나아간 사실성이 엿보임.

 문학사적 의의 : 시조를 내용상으로 구분할 때의 한 갈래인 '호기가'에 해당하는 작품으로, 조선 초기 사대부의 다양한 삶을 제시하고 있음.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