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ing n Seeing

고려 속요 분석 및 해설

by 휴리스틱31 2021. 10. 22.
728x90

고려  속요

 

개념 및 성격

 

♠ 개념 : 고려 시대 평민들이 부르며 구비 전승된 노래

→ 고려 건국 이후 한문학이 발달하면서 향가가 쇠퇴하자, 국문시가는 구비 전승의 영역으로 돌아갔고, 이로 인해 국문 시가의 자료는 그 편모만 볼 수 있을 뿐 온전하게 전해지지 않게 되었다. 고려시대 노래 가운데, 경기체가를 제외하고 평민들이 주로 부르던 국문 시가를 흔히 '고려 속요'라고 부르게 되었다. '속요'라는 명칭 외에 '여요', '장가', '고속가(古俗歌)', '별곡(別曲)' 등으로 불리워지기도 한다.

 

♠ 성격 및 특성

① 평민문학 : 평민들의 소박하고 진솔한 감정이 표현되어 있다.

② 구비문학 : 훈민정음이 창제되어 문헌에 수록되기까지 구전됨.

③ 조선조에 문헌에 수록되는 과정에서 '남녀상열지사(男女相悅之詞)' 혹은 '음사(淫詞)'라고 하여, 많은 작품이 소실된 것으로 보인다.

④ 국문학사적 의의 → 신라시대 향가의 전형적 서정 형식을 이어 받아 우리 고전 시가에서 매우 중요한 시조와 가사를 창출하게 한 교량적 역할을 함.

 

 

형식상 특징

 

♠ 일반적 특징

① 분절체(분연체) 형식

② 3.3.2조의 3음보의 운율미

③ 율동감 넘치는 후렴구(여음)

④ 고려 속요는 그 생성과정이나 전승과정면에서 민요와 일치되는 면이 많지만, 한낱 민요로만 볼 수 없는 것은 일반 민요와는 달리 세련된 이미지 형성의 조화나 서정성이 뛰어나다는 점이다.

 

♠ 단연체 가요 : <정읍사><정과정곡><사모곡><상저가><유구곡> 등

① <정읍사><정과정곡> : 10구체 향가의 잔존 형태

② <상저가><유구곡> : 그 형태가 단연체인지 분연체인지가 분명치 않다. 분절체이면서 그 가운데 제1장만 전해지는 것인지, 원래부터 1장으로만 되어 있는 노래인지가 분명치 않다.

 

 

내용상 특징

 

주로 남녀간의 사랑을 주조로 하면서, 자연에 대한 예찬, 이별의 안타까움 등 평민들의 성정을 진솔하게 나타낸 노래로, 허식이 없고 감정과 정서의 표출이 매우 절절하다. 또한 체념적인 가운데서도 서정성을 지니고 있는 것도 내용상의 특징 가운데 하나이다. 이 중 남녀 간의 애정을 노래한 것에 대해 조선조 학자들이 '남녀상열지사'는 '사리부재(詞俚不載)'라 하여 문헌에서 삭제하기도 하였다.

♠ 이별 : 서경별곡, 가시리

♠ 연모, 연군 : 동동

♠ 사친(思親) : 사모곡, 상저가

♠ 남녀 상열 : 쌍화점, 만전춘, 이상곡

♠ 지조 : 정석가

♠ 주술 : 처용가

♠ 無常(방랑) : 청산별곡

 

수록 문헌

 

 <악학궤범>(1493),  <악장가사>(16세기 중엽),  <시용향악보>(16세기 초 이전)

→ 이 문헌들은 모두 조선시대 악서류(樂書類)로서, 조선 초기 궁중음악의 법도, 의물(儀物), 악곡, 춤, 가사 등을 종합적으로 정리하거나, 그 일부를 간추려 놓은 문헌으로, 그 가운데 고려의 가요를 전하고 있다.

 

현존 작품

 

사모곡, 상저가, 동동, 정석가, 청산별곡, 가시리, 서경별곡, 쌍화점, 만전춘, 이상곡, 유구곡

 

728x90

'Reading n See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관 문학 분석 및 해설  (0) 2021.10.22
고시조 작품분석 및 해설  (0) 2021.10.22
고대 설화 작품 분석 및 해설  (0) 2021.10.22
향가 작품분석 및 해설  (0) 2021.10.22
고대 가요 작품분석 및 해설  (0) 2021.10.2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