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ing n Seeing

[현대소설 줄거리/해설]가면의 꿈(1975)-이청준-

by 휴리스틱31 2021. 11. 18.
728x90

가면의 꿈(1975)

-이청준-

 

● 줄거리

 

어려서부터 천재로 주목받던 '명식'은 촉망받는 젊은 법관이 되었고, 아내 '지연'과의 결혼 생활도 행복한 편이다. 그런 그에게 밤마다 가면을 쓰고 변장을 한 채로 돌아다니는 이상한 버릇이 생긴다. 가면을 써야 위안을 느끼는 그의 밤 외출은 갈수록 잦아진다. 그런 명식을 아내 지연은 익숙하게 받아들이기 시작하고, 심지어 명식의 맨 얼굴에서 가면을 느끼고, 가면을 쓴 모습에서 이질감을 느끼지 않게 된다. 그러나 명식은 예전처럼 가면을 통해 휴식을 느끼지 못하고 피로감만 쌓이기 시작한다. 명식의 피곤기와 황량함은 날이 갈수록 깊어지고, 결국 가면을 쓴 채 투신하고 만다.

 

 

 

● 이해와 감상

 

 이 작품은 진정한 자아를 추구하는 한 개인이 사회에서 요구하는 역할과 기대에 적응하지 못하고 좌절하는 내용을 다루고 있다. 주인공 명식이 가면을 쓰게 된 것은 기만적이고 허구적인 삶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 때 가면은 방어 기제와 반성 기제의 두 가지 기능을 담당한다. 사회적 자아의 억압으로부터 진정한 자아를 반성하게 하는 기능이 그것이다. 그래서 가면을 쓰고 외출하는 명식의 모습은 본능적 자아의 측면을 보완하여 자신으로부터의 소외를 극복하려는 안쓰러운 행동인 것이다. 그러나 가면을 쓰고 외출하는 행위에서도 소외는 극복되지 않고 갈수록 피곤기와 황량함이 깊어져 명식은 결국 죽음의 길을 택한다. 요컨대 이 작품은 한 개인이 감당해야 했던 비극적인 삶을 통해 부정적 현실에서 요구하는 사회적 자아의 허위와 기만을 비판하고 있는 것이다.

 

 이청준의 중단편 소설집 <가면의 꿈>에는 1966년부터 1980년까지 대략 15년 정도의 기간에 발표된 13개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이 작품들은 당시의 유신 시절이라는 시대상황을 통해 느꼈던 작가의 고뇌와 아픔이 고스란히 드러나 있다.

표제작인 '가면의 꿈'은 탈난 세상에서 적응해 가는 개인의 다양한 방식을 보여준다. 천재로 주목받던 주인공 명식은 촉망받는 젊은 법관이 되었고 결혼 생활도 행복한 편이다. 그런데 그에게 밤마다 가면을 쓰고 변장하여 돌아다니는 기벽이 생긴다. 가면을 써야 위안을 느끼는 주인공은 가면 속에 새로운 쉼을 느끼지만 그런 쉼도 오래가지 못한다.

중단편 소설집 <가면의 꿈>은 우리를 억압하는 환경 속에서 그 억압을 벗어나고자 노력하지만 그 억압의 반복적인 굴레 속에서 계속해서 그 굴레를 뒤집어쓰고 살아갈 수밖에 없는 우리들의 모습을 보여준다. <가면의 꿈>을 통해 작가 이청준은 현실에서 소설은 무엇을 어떻게 꿈꾸고 재현할 수 있는가를 보여준다.

 

 

● 핵심사항 정리

 

 갈래 : 현대소설, 단편소설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표현상 특징 : 변신 모티프의 활용

◆ 갈등구조 : 인물의 내적 갈등

 주제  사회적 자아와 본능적 자아의 갈등으로 인한 한 인간의 비극

 

● 더 읽을거리

 

◆ 변신 모티프

바슐라르에 의하면, 상상력의 최초의 기능은 짐승의 모습을 띠고 나타난다고 한다. 그의 이런 발언은 인간의 심성에 내재되어 있는 근원적인 변신 욕망을 적절히 지적한 것이다. 인간의 변신 욕망은 폐쇄된 현실적 삶의 지양과 초월이 가능하다는 믿음에서 기인하는 것이며, 그렇기 때문에 변신 욕망은 문학의 중요한 모티프로 끈질긴 생명력을 가진 채 반복 변주되어 오고 있다.

서구 문학의 원류라 할 <그리스 로마 신화>는 한마디로 인간과 자연 ― 천체, 동물, 식물, 기체 등 ― 의 일치를 다룬 이야기이다.

 

에코가 자신의 사랑을 이루지 못하고 메아리로 변한 사실과, 이에 대한 앙갚음으로 나르시스가 꽃(수선화)으로 변신되었다는 것은 그 한 예에 불과하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카프카의 '변신'에서는 그레고르 잠자가 느닷없이 갑충으로 돌변하는데, 이것은 자신이 속해 있는 집단에서조차 자기 존재를 정립하는 데 실패하는 현대인의 소외된 모습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불교 설화에서도 변신담은 매우 중요한 모티프로 기능한다. 변신은 원래 부처의 변화신(變化身)의 줄임말로서 신비한 세계를 갈구한 고대인들의 사유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였다. 이 모티프를 원용한 우리 고대 소설로는 '금방울전', '박씨전', '옹고집전' 등이 있다. 우리 문학에서 변신모티프의 기원은 단군신화의 '웅녀'에서 찾아진다. 단군신화는 천인(天人)의 인간화와 짐승(곰)의 인간화라는 두 개의 모티프를 포함하고 있다. 단군신화뿐 아니라 고대 건국 시노하의 많은 부분에서 변신 모티프가 발견되고 있다. 우렁이가 미인으로 둔갑한 이야기, 여우가 여자로 둔갑한 이야기, 호랑이가 처녀의 모습으로 화했다는 이야기 등등, 민담, 전설, 설화의 다양한 서사 양식에서 변신 모티프는 그 핵심을 이루고 있다.

 

변신은 그 성격상 보상형과 응보형으로 유형화될 수 있다. 단군신화에 보이는 웅녀의 변신이 전자의 예라면, 우렁이 미인은 후자의 대표적 예이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동물의 인간화 또는 그 역의 형태가 문학적 상징으로 주요한 몫을 차지했던 까닭은 여러 가지 면에서 설명될 수 있다. 변신(또는 둔갑)은 자신의 탈(mask)을 바꿔 쓴다는 의미와 일치한다. 탈의 일차적 기능은 자신의 모습을 숨기는 데 있다. 그것은 위장과 기만을 본질로 하며, 상대방이 눈치채지 못하는 공격의 수단으로 활용된다. 반대로 그것은 인간의 위선을 폭로하는 장치가 되어, 인간 내면에 깊숙이 자리 잡은 야수성의 상징으로 드러나기도 한다. 이청준의 '가면의 꿈', '예언자' 등에 반복되는 가면 모티프는 일상 생활의 규격성 · 제도성 · 획일성에서 일탈하고자 하는 인간의 심리적 욕망을 표현한 것이며, 최인훈의 '가면고'는 '가면 벗기'를 통해 진정한 자아를 찾아가는 행로를 보여주는 소설이다.

 

'가면 벗기'가 인간의 자아 완성을 도모하기 위한 정공법적 차원의 접근이라면, '가면 쓰기'는 내면적 위선을 은폐하기 위한 행위로 해석되는 경우가 많다. 이런 면에서 전광용의 '꺼삐딴 리'는 변신 모티프의 한 변형으로 읽을 수 있다. 사세(事勢)의 변화에 따라 능숙하게 자기 보호색을 바꾸는 주인공 이인국 박사는 '가면 쓰기'의 전형이며 작가의 역설적 공격 대상이 된다.

 

인간이 자기의 현존재에 만족하지 못하고, 근본적인 실존마저 위협당하는 현대의 상황에서 변신 욕망은 그것이 전통적인 형태로 나타나든 혹은 다른 변화된 모습으로 드러나든 문학의 중요한 모티프로서 더욱 중요한 의미를 부여받고 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