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회록 - 윤동주 - |
|||
파란 녹이 낀 구리거울 속에 내 얼굴이 남아 있는 것은 어느 왕조(王朝)의 유물(遺物)이기에 이다지도 욕될까. 나는 나의 참회(懺悔)의 글을 한 줄에 줄이자. ---만 이십 사년 일 개월을 무슨 기쁨을 바라 살아 왔던가. 내일이나 모레나 그 어느 즐거운 날에 나는 또 한 줄의 참회록을 써야 한다. ---그때 그 젊은 나이에 왜 그런 부끄런 고백(告白)을 했던가. 밤이면 밤마다 나의 거울을 손바닥으로 발바닥으로 닦아 보자. 그러면 어느 운석(隕石) 밑으로 홀로 걸어가는 슬픈 사람의 뒷모양이 |
|
||
거울 속에 나타나온다.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1948)- |
해 설
[개관정리]
◆ 성격 : 성찰적, 고백적, 참여적, 상징적, 서정적, 지성적, 애국적
◆ 표현
* 상징에 의한 심상
* 시간의 흐름에 따른 시상의 전개
* 자신에 대한 성찰을 통해 자아의 모습을 확인하려 함.
◆ 중요 시어 및 시구풀이
* 파란 녹이 낀 구리거울 → 왕조의 유물. 식민지 치하의 치욕스런 민족적 현실
(녹 : 민족(망국), 개인(적극적이고 의롭게 살지 못한 부끄러움) )
* 내 얼굴 → 욕된 망국인의 모습(무기력한 자아)
* 어느 왕조 → 일제에 망한 조선 왕조
* 이다지도 욕될까
→ 감당할 수 없는 치욕감
무능한 조상들에 대한 반감 및 젊은 나이로 헛되이 보내고 있는 스스로에 대한 혐오감
* 한 줄에 줄이자 → 부끄럽고 무의미한 삶이었기에, 중언부언할 필요가 없다.
* 이십사년 일개월 → 지나온 삶의 전부
* 무슨 기쁨을 바라 살아 왔던가 → 지난 삶(기쁨없는 삶=죄악)에 대한 뼈저린 회한
* 나는 또 한 줄의 참회록을 써야 한다
→ 현재의 참회에 상응하는 삶을 살아야 한다는 당위성을 인식한 데서 비롯된 것
* 부끄런 고백
→ 역사적 시련에 적극적으로 대항하지 못하고 소극적 고백이나 하였던 자신에 대한 자책감
* 밤이면 밤마다 → 민족의 현실이 암울할수록
* 손바닥으로 발바닥으로 → 온몸으로, 혼신의 노력
* 거울을 닦는 행위
→ 투철한 자아성찰
흐트러진 민족의 현실을 가다듬어, 민족적 자아를 되찾고 시대적 양심을 실현하려는 노력
* 운석 → 별의 잔해(별똥)로서, '죽음'을 연상케하는 시어
파괴와 소멸과 절망의 세계(식민지의 암울한 현실)
* 슬픈 사람의 뒷모양
→ 암담한 현실 상황 속에서 욕된 역사에 대한 책임을 홀로 지고 참회하는 망국인의 슬픈 뒷모습
◆ 주제 ⇒ 투철한 역사인식을 동반한 끊임없는 자아성찰(역사에 대한 책임감과 참회)
◆'거울'의 이미지 : 자기애착 · 나르시시즘(자홀감), 자의식 분열의 매개체, 자기 참회 · 자아성찰의 매개체
⇒ 이 작품에서 거울은 1연에서 보듯이 역사의 유물로 남겨진 '구리 거울'이자, 4연에서 보듯이 '나의 거울'이다. 거울을 대한다는 것은 자기 성찰을 위한 일인데, 작자가 마주한 거울은 '어느 왕조의 유물'이기에 우리 역사에 대한 참회를 동반하게 된다. 욕된 현재를 참회하고, '그 어느 즐거운 날에' 부끄러웠던 지난날에 대한 참회록을 쓸 수 있기 위해서는, 4연에 나타난 것처럼 끊임없는 자기 성찰의 노력을 해야만 한다.
[시상의 흐름(짜임)]
◆ 1연 : 욕된 자아의 각성 → 암울한 현실 속에서 꿈도 없이 살아가는 자신에 대해 자책하고 반성함.
◆ 2연 : 현재의 참회 → 자신의 삶을 한 마디 참회의 글로 대신하려는 각오를 다짐
◆ 3연 : 미래의 참회 → 암울한 현실 속에서 미래의 희망에 대한 다짐과 역사 발전에 대한 신뢰를 표출함.
◆ 4연 : 끊임없는 자아성찰 → 끊임없는 자기 성찰의 행위로써 강인한 의지를 다짐
◆ 5연 : 망국인의 슬픈 자화상 → 미래를 향한 시적 화자의 운명적인 삶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시적 화자는 '파란 녹이 낀 구리 거울'이라는 매체를 통하여 그 속에서 '왕조의 유물'과 '내 얼굴'을 발견한다. 이 '거울'은 그 자체가 '나'이면서 나를 비춰 주는 거울로, 그는 거울을 통해 과거의 삶을 성찰하고 참회할 뿐 아니라, '그 어느 즐거운 날'인 미래에 비추어 현재의 부끄러움을 깨닫고 있다. 그러므로 이 시에서의 거울은 단순히 내면적 자아 성찰의 도구가 아니라, 역사 인식의 매개물이요 미래 전망의 창구(窓口)가 되는 것이다.
이 시는 서정적 자아가 '거울'이라는 매체를 통해 망국에 처한 자신의 모습을 조망하는 데서 출발한다. 푸른 녹이 낄 정도로 방치되고, 무관심했던 삶에 대한 반성이 일어나며 만 이십사 년 일 개월이라는 자아의 삶의 기간에 대해 다소 처량한, 그러나 다시는 그러지 않겠다는 다짐처럼 참회의 내용은 짧다. 그리고 이렇게 가다가는 미래의 내 모습도 결국 또 참회록을 쓸 상황이 되고 말거라는 위기감도 드러나 있다. 내일이나 모레의 '즐거운 날'은 희망을 버리지 않는 자세이면서 삶의 반전을 꾀하는 부분이다. 다시 또 그런 부끄러운 고백을 하지 않겠다는 의지가 나타난다. 이러한 다짐 속에 암담한 현실의 밤을 자신을 성찰하는 노력으로 지새운다. 성찰의 매체가 된 거울을 닦음으로써 욕된 자아와 결별하고 도덕적인 자아를 만나려는 것이다. 손 바닥 발바닥이 드러내듯 온 몸으로 노력하고 있음이 드러난다.
슬픈 사람은 상황에서 비쳐진 모습이다. 그리고 그는 빛을 잃은 우주 공간의 운석 위에 있다. 자신의 내적 성찰을 통한 사람은 도덕적이다. 희망을 예비하는 일은 이렇게 도덕적이어야 한다. 거울 속의 나는 적극적 의지의 자아이며 내적 갈등이 해소된 모습이다.
◆ 윤동주와 창씨개명
윤동주의 시 '참회록'의 말미에는 이 시를 쓴 날짜가 1942년 1월 24일로 적혀 있다. 물론 이 날짜는 그 이전부터 숱한 생각을 되풀이하며 써 오던 작품을 마침내 완성해서 최종적으로 적어 놓은 것이겠다. 윤동주는 '참회록'을 완성하기 한 달 전쯤 연희전문학교를 졸업(1941년 12월 27일)하고 고향에 돌아와 있었다. 1941년 12월 8일, 일제는 진주만을 기습하여 태평양 전쟁을 일으켰는데, 이러한 급박한 시국에 따른 학제 단축으로 졸업이 2~3개월 정도 앞당겨졌던 것이다. 그러니까 윤동주는 서울 유학을 마치고 고향인 북간도 용정으로 돌아와 겨울을 보내면서 '참회록'을 쓴 것이다. 그리고는 다시 서울로 와서 모교인 연희전문학교에 '평소동주(平沼東柱)'로 창씨개명한 이름을 계출하였던 바, 연전 학적부에 그 계출한 날짜가 정확히 1942년 1월 29일로 기록되어 있다.
윤동주가 창씨개명을 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은 일본으로 유학을 가고자 했기 때문이었다. 현해탄을 건너 일본에 가려면 도항 증명서를 발급받아야만 했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창씨 개명을 할 도리밖에 없었던 것이다. 이렇게 해서 일본으로 유학을 떠난 윤동주가 동경에 있는 릿쿄(立敎) 대학 영문과에 입학한 것은 1942년 4월 2일이었다. '참회록'은 이러한 행적과 관련된 시인의 고뇌가 가득히 어려 있는 작품이다. 여기서 특히 주목할 것은 창씨개명계를 제출하기 불과 닷새 전에 이 시를 완성해서 적어 놓았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상급 학교 진학을 위해 치욕스럽게도 창씨개명계를 내야 했던 그 즈음의 시인의 내면을 '참회록'에서 고백하고 있으리라는 추측을 가능하게 한다. 즉, 일본 유학을 결정하고 그를 위해 자신의 손으로 창씨개명계를 제출하는 것이 불가피하다고 각오했을 때, 그 뼈아픈 욕됨으로 인해 쓰인 시가 곧 '참회록'이라는 것이다.
-류양선, '윤동주의 '참회록' 분석', "한국 현대 문학 연구" 제25집, 한국현대문학회, 2008
[교과서 학습 활동]
1. 이 시를 읽고 난 뒤 느낄 수 있는 정서는 어떤 것인지 다음 시구의 의미를 통해 확인해 보자.
* 만 이십사 년 일 개월을 무슨 기쁨을 바라 살아 왔던가. → 시적 화자는 과거 자신의 삶 전체를 참회하고 있다. 즉 자신의 과거에 대한 부끄러운 반성이다.
* 그때 그 젊은 나이에 / 왜 그런 부끄런 고백을 했던가. → 시적 화자는 현재의 상황 속에서 무기력하게 절망하는 있는 자신을, 미래의 즐거운 날에 또다시 참회하게 될 것이라고 말한다. 그것은 근본적인 의미에서의 참다운 참회가 아닌 '부끄런 고백'일 뿐으로 현재에 대한 반성이다.
* 슬픈 사람의 뒷모양이 / 거울 속에 나타나온다. → 미래에서 바라본 시적 화자의 현재 모습으로 참회에 잠긴 시적 화자를 가리킨다. 즉 미래에 대한 자아성찰의 부분이다.
2. 이 시에 나타난 화자의 고민이 개인적인 것인지 사회 · 역사적인 것인지 판단하고, 그렇게 생각한 이유를 말해 보자.
→ 이 시에 드러난 시적 화자의 고민은 사회 · 역사적인 것이다. 이는 일제 말의 암흑기를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 하는 문제를 놓고 자신을 돌아보고, 그 인식을 내면화한 결과이다. 1연에서는 역사적 자화상에 대한 자괴감이 두드러지게 표현되고 있고, 시적 화자의 과거, 현재, 미래에 대한 반성 및 성찰이 작품의 주제를 이룬다.
3. 이 시를 쓴 당시 상황에 대한 자료를 참고하여 다음 활동을 해 보자.
1941년 이후 일제는 조선어 사용을 전면 금지했으며 국방 보안법을 비롯한 각종 악법을 공포하였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윤동주는 일본 유학을 결심했는데 일본 유학을 위해서는 창씨개명을 해야 했다. |
(1) 1연에서 자신의 얼굴이 '파란 녹이 낀 구리 거울' 속에 남아 있다고 말한 의미는 무엇인지 설명해 보자.
→ '파란 녹이 낀 구리 거울'은 쇠락한 역사를 의미한다. 그 속에 자신의 얼굴이 남아 있다는 것은 자신이 치욕스럽고 쇠락한 역사 속의 존재라는 깨달음으로, 창씨개명을 해야했던 절망감과 자괴감의 표현이라고 볼 수 있다.
(2) 4연의 '밤'의 의미를 시대 상황과 연관 지어 말해 보자. 그리고 화자가 '밤이면 밤마다 나의 거울'을 닦는 이유는 무엇인지 추측해 보자.
* '밤'의 의미 → 밤은 부정적 시대 상황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일제 강점기를 가리킨다고 볼 수 있다.
* '밤이면 밤마다 나의 거울'을 닦는 이유
→ 이러한 어두운 시대에도 부끄럽지 않게 살기 위해 끊임없이 자신을 돌아보고 바른 길을 모색하기 위해서이다.
4. 다음 시를 '참회록'과 관련지어 감상해 보고, 주어진 활동을 해 보자.
허형만, '녹을 닦으며' |
(1) '녹을 닦으며'가 '참회록'의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면, 어떤 면에서 그렇게 말할 수 있는지 생각해 보자.
→ '녹'과 '닦다'라는 시어의 상징적 의미가 유사하게 사용되었다. 또한 '손바닥으로 발바닥으로' 거울을 닦는 행위와 '온몸으로 온몸으로' 대문을 문지르는 행위는 절실함과 간절함이 묻어 나오는 행위로 유사한 느낌을 준다.
(2) 다른 작품과의 연관성을 따지면서 작품을 읽으면 어떤 점이 좋은지 말해 보자.
→ 비슷하면서도 다른 점에 주목하면서 작품을 다채롭게 감상할 수 있다.
5. 작자가 이 시를 쓴 시대적 상황에 대해 조사해 보고, 자신이 그 시대에 살면서 겪었을 법한 일을 한 가지 가상해서 그때의 심정을 떠올려 한 편의 시나 일기로 써 보자.
* 시대적 상황 → 식민 통치의 초기부터 일본은 자국의 경제적 이익과 군수 물자 공급을 위해 한국을 착취의 대상으로 여기고 갖가지 악랄한 수탈 정책을 펼쳤다. 1930년대 전후에는 더욱 국수주의적인 성향을 띄면서 만주사변 등을 일으키기에 이르렀다. 이후 한반도에서의 식민통치 정책은 날이 갈수록 혹독해졌으며, 1938년 소위 '국가 총 동원령', 1939년 '육군 특별 지원 병령'등을 발표하여 한국민을 노력 동원, 전쟁 등에 내몰 준비를 하고, 1940년에는 '창씨 개명령'을 내림으로써 한민족의 민족혼을 뿌리채 흔드는 크나큰 상처를 안겨 주었다. 이러한 모든 정책은 근본적으로 한국민의 민족 정신을 말살하여 노예화하려는 계산에서 나온 것이었다. 더 나아가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자 1941년 '국민 근로보국 협회령', 1943년 '강제 징병제', 1944년 '결전 비상 조치 요강' 등으로 자신들의 전쟁터로 한국민을 내몰며 말기의 단말마적 악행을 서슴치 않았다.
* 일기문 예시(1941. 4. 2.) → 오늘 선생님께서 또다시 창씨 개명에 관한 말씀을 하셨다. 창씨를 하지 않는 아버지들은 불령선인(不逞鮮人)이며, 그 집안의 자손들은 더 이상 학교를 다닐 수 없다고 하셨다. 아버지가 가장 걱정하시는 것도 바로 그것이다. 조상에 죄를 짓는다는 이유로 창씨를 하지 않고 버티어 오셨지만, 나와 동생의 교육 문제 때문에 괴로워하시는 것 같았다. 이제 친구들은 반 이상 이름을 바꾸었다. 병식이도, 선재도 ……. 이제 그들을 어떻게 불러야 할지 잘 모르겠다. 나도 빨리 이름을 바꾸지 않으면 전학을 가야 할지도 모른다. 아마 이름을 바꾸지 않는다면 이 학교를 계속 다니는 건 어려울 것이다. 내가 과연 얼마나 버틸 수 있을까? 아니, 그보다도 자식 때문에 걱정하는 부모님 심정은 어떠할까? 양심에 따라 산다는 것이 과연 가능한 일일까?
'Reading n See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시 해설]바다1 - 정지용 - (0) | 2021.11.25 |
---|---|
[현대소설 줄거리/해설]귀환(1957)-김성한- (0) | 2021.11.25 |
[현대소설 줄거리/해설]오분간(1955)-김성한- (0) | 2021.11.25 |
[현대소설 줄거리/해설]역사(力士)(1964)-김승옥- (0) | 2021.11.25 |
[현대소설 줄거리/해설]수라도(修羅道)()-김정한- (0) | 2021.11.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