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역사2

< 새로운 역사학의 입장에서 본 생활사의 개념과 방향 > ○ 최근 10여 년간 한국사학계에 나타난 새로운 경향 - 생활사 (history of everyday life) - 뚜렷한 사학사적인 인식 아래서 이를 연구하고자 한 것은 최근의 일 - 이데올로기 투쟁으로 점철된 1970~80년대 한국 현대사의 한 시대가 끝나고 그와는 성격이 다른 한 시대로 넘어가고 있는 징후 - ‘모더니티’ 중심에서 ‘포스트모던’의 시대로 ○ 생활사에 대한 관심이 증대된 요인 (우인수) - 기존의 정치사ㆍ경제사ㆍ사상사ㆍ사회사 등의 업적이 축적되면서 자연스럽게 생활사 쪽으로 연구 방향이 이동 - 아날학파나 독일 일상사 등 서양학계의 새로운 경향의 영향 - 문화인류학ㆍ민속학 등 인접학문의 자극 - 북한학계의 생활풍습 연구의 영향 -.. 2021. 6. 7.
왜 역사를 배우는가? 왜 역사를 배우는가? 1. 역사란 무엇인가 ? ○ 개념 ① 서양 a. 영어 history, 불어 histoire, 이태리어 Storia → 희랍어 - historia가 어원(“탐구에서 얻어진 지식”) 제일 먼저 지금의 ‘역사’의 뜻으로 사용 - Herodotus 󰡔페르시아전쟁사󰡕 Thucydides 󰡔펠로폰네소스전쟁사󰡕 이들은 현재적 관심에서 과거의 사실을 탐구. 헤로도투스의 경우 페르샤인들과 희랍인들 사이에서, 투키디데스의 경우 펠로폰네소스인들과 아테네인들 사이에서 각각 일어난 전쟁의 역사적 사실만을 단순하게 그리고 단편적으로 나열한 것이 아니라, 사실과 사실 사이의 연관성을 그 전후관계에서 탐구하고 그 의미를 부여하는 동시에 그 관련성은 또한 그들 두 史家가 살고 있던 당시의 현재적인 문제와 연결시킴.. 2021. 6. 5.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