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역사인식3 < 서양의 현대 역사인식 > □ 19세기 역사인식 ○ 19세기는 ‘역사의 세기’ ○ 19세기 전반 독일의 역사철학(관념철학에 영향 받음) - 역사의 절대화, 이념화를 극한에까지 몰고 감. - 헤겔에 의하여 정점에 도달 - 헤겔은 역사를 절대자인 정신의 자기 실현과정이며, 정신의 본질이 자유이기 때문에 역사의 목표는 잠재적 자유를 변증법적으로 실현하는 것이라고 주장.(역사철학강의, 1837) - 세계사의 궁극적인 목표는 자유를 실체로 하는 세계이성(절대적 정신)의 실현이라 봄. - 세계이성의 실현 장소는 객관적 정신(절대적 정신의 전 단계)으로서의 ‘국가’인 것. - ‘세계정신’은 ‘민족정신’을 통하여 드러남. - 세계사란 헤겔에게 있어서 세계정신의 역사이며 각 시대의 민족정신을 통하여 자기를 실현해가.. 2021. 6. 14. < 서양의 현대 역사인식 > □ 19세기 역사인식 ○ 19세기는 ‘역사의 세기’ ○ 19세기 전반 독일의 역사철학(관념철학에 영향 받음) - 역사의 절대화, 이념화를 극한에까지 몰고 감. - 헤겔에 의하여 정점에 도달 - 헤겔은 역사를 절대자인 정신의 자기 실현과정이며, 정신의 본질이 자유이기 때문에 역사의 목표는 잠재적 자유를 변증법적으로 실현하는 것이라고 주장.(역사철학강의, 1837) - 세계사의 궁극적인 목표는 자유를 실체로 하는 세계이성(절대적 정신)의 실현이라 봄. - 세계이성의 실현 장소는 객관적 정신(절대적 정신의 전 단계)으로서의 ‘국가’인 것. - ‘세계정신’은 ‘민족정신’을 통하여 드러남. - 세계사란 헤겔에게 있어서 세계정신의 역사이며 각 시대의 민족정신을 통하여 자기를 실현해가.. 2021. 6. 7. 왜 역사를 배우는가? 왜 역사를 배우는가? 1. 역사란 무엇인가 ? ○ 개념 ① 서양 a. 영어 history, 불어 histoire, 이태리어 Storia → 희랍어 - historia가 어원(“탐구에서 얻어진 지식”) 제일 먼저 지금의 ‘역사’의 뜻으로 사용 - Herodotus 페르시아전쟁사 Thucydides 펠로폰네소스전쟁사 이들은 현재적 관심에서 과거의 사실을 탐구. 헤로도투스의 경우 페르샤인들과 희랍인들 사이에서, 투키디데스의 경우 펠로폰네소스인들과 아테네인들 사이에서 각각 일어난 전쟁의 역사적 사실만을 단순하게 그리고 단편적으로 나열한 것이 아니라, 사실과 사실 사이의 연관성을 그 전후관계에서 탐구하고 그 의미를 부여하는 동시에 그 관련성은 또한 그들 두 史家가 살고 있던 당시의 현재적인 문제와 연결시킴.. 2021. 6. 5. 이전 1 다음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