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역사학2

< 새로운 역사학의 입장에서 본 생활사의 개념과 방향 > ○ 최근 10여 년간 한국사학계에 나타난 새로운 경향 - 생활사 (history of everyday life) - 뚜렷한 사학사적인 인식 아래서 이를 연구하고자 한 것은 최근의 일 - 이데올로기 투쟁으로 점철된 1970~80년대 한국 현대사의 한 시대가 끝나고 그와는 성격이 다른 한 시대로 넘어가고 있는 징후 - ‘모더니티’ 중심에서 ‘포스트모던’의 시대로 ○ 생활사에 대한 관심이 증대된 요인 (우인수) - 기존의 정치사ㆍ경제사ㆍ사상사ㆍ사회사 등의 업적이 축적되면서 자연스럽게 생활사 쪽으로 연구 방향이 이동 - 아날학파나 독일 일상사 등 서양학계의 새로운 경향의 영향 - 문화인류학ㆍ민속학 등 인접학문의 자극 - 북한학계의 생활풍습 연구의 영향 -.. 2021. 6. 7.
< 20세기 한국의 역사인식 > □ 20세기 한국역사학의 성과 ○ 조선시대 이래 19세기까지의 역사학 - 경학(주자학)으로부터 제대로 독립되지 못한 채 왕조와 양반지배층을 중심으로 한 역사 서술에 그침 ○ 20세기 역사학은 중세적인 역사관을 청산하고, 근대적인 역사관으로 무장하면서 근대적인 학문으로 독립 ○ 과제 : ① 중세사학으로부터의 탈피와 근대사학의 수립 ② 식민주의 역사학에 대한 비판과 극복 ③ 분단된 민족의 통일을 지향하는 역사학의 수립 ○ 한국 근대 역사학에서 무기가 된 것은 역사 서술의 주체로서 새로이 발견한 민족, 민중, 계급이었다 ① 민족의 발견 : 신채호, 박은식 ② 계급ㆍ민중의 발견 : 백남운, 민중사관 ○ 근대주의를 수용하여 한국사를 발전적 시각에서, 그리고 세계사적 보편성과 연관시.. 2021. 5. 14.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