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 헤는 밤
- 윤동주 -
계절이 지나가는 하늘에는
가을로 가득 차 있습니다.
나는 아무 걱정도 없이
가을 속의 별들을 다 헬 듯합니다.
가슴 속에 하나 둘 새겨지는 별을
이제 다 못 헤는 것은
쉬이 아침이 오는 까닭이요
내일 밤이 남은 까닭이요
아직 나의 청춘이 다 하지 않은 까닭입니다.
별 하나에 추억과
별 하나에 사랑과
별 하나에 쓸쓸함과
별 하나에 동경과
별 하나에 시와
별 하나에 어머니, 어머니,
어머님, 나는 별 하나에 아름다운 말 한마디씩 불러 봅니다. 소학교 때 책상을 같이 했던 아이들의 이름과 패, 경, 옥, 이런 이국 소녀들의 이름과, 벌써 아기 어머니된 계집애들의 이름과, 가난한 이웃 사람들의 이름과, 비둘기, 강아지, 토끼, 노새, 노루, '프랑시스 잠', '라이너 마리아 릴케' 이런 시인의 이름을 불러 봅니다.
이네들은 너무나 멀리 있습니다.
별이 아스라이 멀 듯이.
어머님,
그리고 당신은 멀리 북간도에 계십니다.
나는 무엇인지 그리워
이 많은 별빛이 내린 언덕 위에
내 이름자를 써 보고
흙으로 덮어 버리었습니다.
딴은 밤을 새워 우는 벌레는
부끄러운 이름을 슬퍼하는 까닭입니다.
그러나 겨울이 지나고 나의 별에도 봄이 오면
무덤 위에 파란 잔디가 피어나듯이
내 이름자 묻힌 언덕 우에도
자랑처럼 풀이 무성할거외다.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1948)-
해 설
[개관정리]
◆ 성격 : 낭만적, 서정적, 의지적
◆ 표현 : 부분적인 산문적 리듬 구사로 호흡이 빨라지는 효과를 거둠.(5연)
맑고 앳된 감각과 쉬운 우리말 사용
◆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 하늘 → 시인의 삶의 터전이자 스스로를 비추어볼 수 있는 거울로서의 공간
* 가을 → 상념과 사색을 하기에 어울릴 수 있는 계절
* 별 → 과거 회상의 매개체
'그립고 절실한 것', '순수', '동경', '이상' 등 상징
* 추억, 사랑, 쓸쓸함, 동경, 어머니 → 상념의 구체적 내용으로, 그리움의 대상들
* 5연 → 4연의 내용을 구체화시킨 부분이면서, 4연과는 연쇄적 관계를 이룸.
* 이네들은 너무나 멀리 있습니다.
→ 과거 회상으로부터 현재의 시점으로 돌아옴.
현재의 상황은 소중하고 아름다운 것들과 너무나 멀리 떨어져 있는 어두운 현실
* 내 이름자를 써 보고 → 자아성찰의 행위
* 흙으로 덮어 버리었습니다 → 자책감과 부끄러움이 동반된 행동
* 밤을 새워 우는 벌레 → 시적 자아 자신의 모습(감정이입)
* 부끄러운 이름
→ 지난날의 그 아름답고 화해로운 세계가 파괴되고 사라져, 이제는 외롭고 괴로운 세계로
변해 버린 상황 속에서, 이상을 실현해내지 못하고 있는 스스로에 대한 부끄러움.
* 그러나
→ 시상의 극적 전환을 보이면서, 새로운 세계에 대한 희생적 기원을 다짐하게 하는 계기가 되는 시어
* 무덤 위에 파란 잔디가 피어나듯이 → 희생이 바탕된 새로운 생명(삶)의 탄생
* 자랑 → 내가 죽고 난 다음에 올 해방된 조국에 대한 자랑스러움
◆ 주제 ⇒ 아름다운 이상세계에 대한 동경과 자아성찰
[시상의 흐름]
◆ 1연 ∼ 5연 : 가을 밤 하늘의 별을 바라보며 아름다운 상념에 잠김(추억의 과거)
◆ 6연 ∼ 7연 : 현재의 우울한 상황(현재적 상황)
◆ 8연 ∼ 9연 : 자아의 현실적 고뇌 및 자아성찰
◆ 10연 : 자아의 현실 극복 의지(미래지향의지)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북간도에서 태어난 윤동주가 연희전문학교 재학 시절, 졸업을 앞두고 쓰여진 시로 알려져 있다. 가을밤을 배경으로 현재 자신과 멀리 떨어져 있는 것에 대한 그리움을, 어머니에게 보내는 편지글 형식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표출시키고 있다.
모두 10연으로 이루어진 이 작품은 어려운 단어를 하나도 사용하지 않고 있으며, 산문적인 표현을 통해 호흡의 변화를 가져온 것 또한 큰 특징이라 하겠다.
계절의 흐름을 몸으로 느끼면서 가을 밤하늘의 별들을 헤아리고 있다. 하늘의 별들만큼이나 화자의 가슴 속에는 수없이 많은 상념이 떠오를 것이다. 이러한 사념의 분위기는 4연까지 차분한 어조와 리듬으로 진행된다. 그러나 제5연에 들어서면 시행이 줄글로 이어지면서 갑자기 호흡이 빨라진다. 이 빠른 흐름 속에서 그의 눈 앞을 온갖 그리운 것들이 주마등처럼 명멸하며 스쳐 지나간다. 그것은 화자가 잃어 버린 추억의 그림이자 아름다운 환상의 페이지이다.
그런데 이러한 추억으로부터 깨어나면서, 화자는 자신이 처한 현재적 상황에 눈을 뜨게 되고, 그것은 너무도 우울하고 안타까운 현실이다. 이러한 현실에 처한 화자가 괴로워하는 모습이 마지막 세 연에서 생생히 보여진다. 그 고통의 표출이 자기 이름 석 자를 써 보고 흙으로 덮어 버리는 행위로 나타난다. 이것은 자아 성찰 혹은 민족의식의 결과라고 해석될 수 있는데, 이것은 '부끄러움'과 연관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자아 성찰의 결과로 나타나는 것은 바로 미래를 바라보는 긍정적 시선이다. '봄'과 '풀'의 결합으로 형상화된 미래는 아름다운 이상이 실현되는 날을 가리키며, 이러한 미래의 아름다운 세계를 실현하기 위해 화자는 자신에게 주어진 길이 심지어 죽음일지라도 기꺼이 받아들이겠다는 결의가 숨어있는 것이다. 마지막 부분에서는 이렇게 '부활'의 이미지가 나타나는데, 화자 자신의 부끄럽지 않은 아름다운 이름으로 다시 탄생하기 위해 다짐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이 작품 역시 윤동주의 시가 대개 그러하듯이 그리움과 자기 성찰이라는 주제를 근간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할 수 있다.
[생각해 볼 문제]
1. 이 시에 나타난 주된 정서와 어조에 대해 설명해 보자.
→ 이 시는 시적 자아가 타향에서 어머니, 그리고 고향의 모든 것을 그리워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주된 정조는 그리움의 정서이며, 이 그리움의 정서는 호소적인 어조로 표현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2. 4연에서 드러나는 시제를 말하고, 그것이 내포하고 있는 의미를 말해 보자.
→ 제4연에 나타나는 시제는 과거, 현재, 미래이다. 과거는 추억을, 현재는 사랑과 쓸쓸함을, 그리고 미래는 동경의 의미를 각각 지니고 있다.
'Reading n See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전산문/고전가사 해설]성산별곡(星山別曲) - 정 철 - (0) | 2021.12.23 |
---|---|
[현대시 해설]북 치는 소년 -김종삼- (0) | 2021.12.23 |
[현대시 해설]꽃을 위한 서시 - 김춘수 - (0) | 2021.12.23 |
[현대시 해설]나비와 광장 - 김규동 - (0) | 2021.12.23 |
[현대시 해설]길 - 김기림 - (0) | 2021.12.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