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신 몽(趙信夢) - 삼국유사 권3.-
본 문
옛날 신라가 서울이었을 때 세규사의 장원(절이 소유하던 대규모의 토지)이 명주 날리군에 있었는데, 본사에서 중 조신을 보내서 장원을 맡아 관리하게 했다. 조신이 장원에 와서 태수 김흔공의 딸을 좋아하고 아주 반했다. 여러 번 낙산사 관음보살 앞에 가서 남몰래 그 여인과 살 게 해달라고 빌었다. 이로부터 몇 해 동안에 그 연이게는 이미 배필이 생겼다. 그는 또 불당 앞에 가서, 관음보살이 자기의 소원을 들어주지 않는다고 원망하며 날이 저물도록 슬피 울다가 생각하는 마음에 지쳐서 잠시 잠이 들었다.(조신이 현실에서 이루지 못한 욕망을 지닌 채 관음보살을 원망하며 잠이 들었음을 뜻함.) 꿈속에 갑자기 김씨 낭자가 기쁜 낯빛을 하고 문으로 들어와 활짝 웃으면서 말한다.
"저는 일찍부터 스님을 잠깐 뵙고 알게 되어 마음속으로 사랑해서 잠시도 잊지 못했으나 부모의 명령에 못이겨 억지로 딴 사람에게로 시집갔었습니다. 지금 내외가 되기를 원해서 온 것입니다." 이에 조신은 매우 기뻐하여 그녀와 함게 고향으로 돌아갔다.
그녀와 40여년간 같이 살면서 자녀 다섯을 두었다(세속적 욕망의 성취). 집은 다만 네 벽뿐이고, 좋지 못한 음식마저도 계속해 갈 수가 없었고, 마침내 꼴이 말이 아니어서 식구들을 이끌고 사방으로 다니면서 얻어먹고 지냈다(부부의 가난한 삶과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계속되는 불행은 조신과 김씨 부인의 이별의 직접적 계기가 됨. 꿈속에서의 삶은 현실에서의 욕망을 이룬 삶이긴 하나 고통이 따르는 삶이었음.). 이렇게 10년 동안 초야로 두루 다니니 옷은 여러 조각으로 찢어져 몸도 가릴 수가 없었다. 마침 명주 해현령을 지날 때 15세 되는 큰아이가 갑자기 굶어죽으매 통곡하면서 길가에 묻었다. 남은 네 식구를 데리고 그들 내외는 우곡현에 이르러 길가에 모옥을 짓고 살았다. 이제 내외는 늙고 병들었다.
게다가 굶주려서 일어나지도 못하니, 10세 된 계집아이가 밥을 빌어다 먹는데, 다니다가 마을 개에게 물렸다. 아픈 것을 부르짖으면서 앞에 와서 누웠으니 부모도 목이 메어 눈물을 몇 줄이고 흘렸다. 부인이 눈물을 씻더니 갑자기 말한다.
" 내가 처음 그대를 만났을 때는 얼굴도 아름답고 나이도 젊었으며 입은 옷도 깨끗했었습니다. 한 가지 맛있는 음식도 그대와 나누어 먹었고 옷 한 가지도 그대와 나누어 입어, 집을 나온 지 50년 동안에 정은 맺어져 친밀해졌고 사랑도 굳게 얽혔으니 가위 두터운 인연이라고 하겠습니다. 그러나 근년에 와서는 쇠약한 병이 해마다 더해지고 굶주림과 추위도 날로 더욱 닥쳐오는데 남의 집 곁방살이나 하찮은 음식조차도 빌어서 얻을 수가 없게 되었으며, 수많은 문전에 걸식하는 부끄러움은 산더미보다 더 무겁습니다. 아이들이 추워하고 배고파해도 미처 돌봐주지 못하는데 어느 겨를에 사랑이 있어 부부간의 애정을 즐길 수가 있겠습니까. 붉은 얼굴과 예쁜 웃음도 풀 위의 이슬이요, 지초와 난초같은 약속도 바람에 나부끼는 버들가지입니다(인생의 덧없음을 말한 것임. 풀 위의 이슬은 금세 사라지는 존재이고, 버들가지는 바람에 쉽게 흔들리는 존재이므로 젊음, 아름다우므 사랑의 언약은 힘든 삶 속에서 덧없을 수밖에 없음을 비유적으로 나타냄.). 이제 그대는 내가 있어서 더 누(累)가되고 나는 그대 때문에 더 근심이 됩니다. 가만히 옛날 기쁘던 일을 생각해 보니, 그것이 바로 근심의 시작이었습니다. 그대와 내가 어찌해서 이런 지경에 이르렀습니까. 뭇 새가 다 함께 굶어죽는 것보다는 차라리 짝잃은 난새가 거울을 향하여 짝을 부르는 것만 못할 것입니다. 추우면 버리고 더우면 친하는 것은 인정에 차마 할 수 없는 일입니다. 하지만 행하고 그치는 것은 인력으로 되는 것이 아니고, 헤어지고 만나는 것도 운수가 있는 것입니다. 원컨대 이 말을 따라 헤어지기로 합시다. "
조신이 이 말을 듣고 크게 기뻐하여 각각 아이 둘씩 나누어 데리고 장차 떠나려 하니 여인이 말한다.
" 나는 고향으로 갈 테니 그대는 남쪽으로 가십시오. "
이리하여 서로 작별하고 길을 떠나려 하는데 꿈에서 깨었다(각몽). 타다 남은 등잔불은 깜박거리고 밤도 이제 새려고 한다. 아침이 되었다(고통 속에서 살았던 40여 년의 세월이 실제로는 전날 저녁부터 다음날 새벽까지의 꿈이었음을 나타내는 부분. 그러므로 인생은 헛되고 덧없는 일장춘몽이라는 뜻임.). 수염과 머리털은 모두 희어졌고 망연히 세상 일에 뜻이 없다. 괴롭게 살아가는 것도 이미 싫어졌고 마치 한평생의 고생을 다 겪고 난 것과 같아 재물을 참하는 마음도 얼음 녹듯이 깨끗이 없어졌다. 이에 관음보살의 상을 대하기가 부끄러워지고 잘못을 뉘우치는 마음을 참을 길이 없다. 그는 돌아와서 해현에 묻은 아이를 파보니 그것은 바로 돌미륵이다(미륵은 도솔천에 살며 미래에 인간 세상으로 와서 중생을 건진다는 보살을 일컬음. 꿈과 현실의 매개체로 조신의 꿈이 부처의 의도였음을 뜻함.). 물로 씻어서 근처에 있는 절에 모시고 서울로 돌아가 장원을 맡은 책임을 내놓고 사재(私財)를 내서 정토사(淨土寺)를 세워 부지런히 착한 일을 했다. 그 후에 어디서 세상을 마쳤는지 알 수가 없다.
작품 정리
◆ 해설
이 설화는 인생의 욕망과 어리석은 집착은 한 순간의 꿈이요, 고통의 근원이라는 불교적 주제가 담긴 전설로, '현실-꿈-현실'의 전형적 환몽 구조를 취하고 있어 조선 시대에 쓰여진 <구운몽> 등 많은 몽자류 소설의 모티프 구실을 하였으며, 이광수의 <꿈>의 직접적 소재이기도 하다. 이야기의 진실성을 내세우는 전설이므로 세규사와 정토사라는 구체적 증거물과 구체적 시대가 제시되기도 한다. 한편 절의 건립 내력을 보여 주기도 하여 사원 연기 설화임을 드러낸 준다.
이 설화는 남가일몽(南柯一夢)이라는 고사 성어의 근원이 되는 <남가태수전>과 연관지을 수 있으나 꿈의 내용이 <조신설화>는 불행과 고난의 연속인데 반해, <남가태수전>에서는 부귀 영화를 누리는 것으로 되어 있는 것이 다르다.
◆ 요점정리
⑴ 성격 : 설화(전설), 사원연기설화(寺院緣起說話), 환몽(幻夢)설화
⑵ 내용 : 인생의 세속적 욕망은 한 순간의 꿈이요 고통의 근원이니 집착을 버려야 한다.
⑶ 구성 : 3단 구성, 환몽 설화(현실-꿈-현실)의 전형적 구조, 액자 형태의 환몽 구조
⑷ 주제 : 인생무상(人生無常), 세속적 욕망의 덧없음 =남가일몽, 한단지몽, 일장춘몽
* 조신은 꿈에서, 현실에서 그토록 바라던 여자와 사랑을 하며 같이 살게 된다. 그러나 소망이 이루어졌음에도 조신은 현실 생활의 다양한 어려움, 즉 빈곤, 가족의 죽음, 이별 등의 삶의 괴로움에 처하게 된다. 이 설화는 조신의 꿈 이야기를 통해 아무리 소망하던 삶이라도 현실의 고난은 피할 수 없으며, 고된 현실은 한갓 꿈에 불과할 뿐이라는 종교적인 교훈을 주고 있다.
⑸ 문체 : 역어체, 설화체
⑹ 출전 : <삼국유사> 권3, 탑상(塔像)
⑺ 의의 : 환몽 소설의 연원이 되는 설화로 후에 김만중의 <구운몽> 및 이광수의 <꿈>이라는 소설에 영향을 주었다. 동일 모티프에 의한 다양한 변이 과정을 확인해 볼 수 있는 작품이다. ‘조신의 꿈’은 일장춘몽인 인생의 허무를 주제로 한 ‘꿈’의 문학으로는 국문학사상 그 원조이다. 비록 설화이긴 하나 단편소설 이상의 긴밀한 구성과 압축된 주제를 살렸다.
◆ 다른 작품과의 관련성
이 설화가 몽자류 소설의 효시가 되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몽자류 소설은 [구운몽(九雲夢)]이 대표적이며 그 외 [옥루몽], [옥린몽], [옥련몽] 등이 있다. 꿈이란 누구나 체험하는 것이지만 예나 지금이나 의연히 신비스러운 현상임에는 틀림이 없다. 그러기에 문학에서도 꿈을 소재로 한 것이 많다. 우리 나라에서는 이 설화를 바탕으로 이광수가 [꿈]이라는 소설을 쓴 바 있으며, 서양의 경우에는 졸라의 [꿈], 맥도날드의 [꿈 꾸는 사람] 등이 있고, 그 외에 [천로역정], [파랑새] 등도 모두 꿈과 관련된 것이다.
◆ <조신몽>의 전설로서의 특징
전설은 이야기 내용의 진실성을 내세우는 뜻에서 구체적인 증거물을 가지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 작품의 경우에는 세규사와 정토사라는 절이 그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정토사는 조신에 나중에 깨달음을 얻은 후에 세웠다고 하므로, 이 전설은 정토사 건립의 내력을 설명하는 사원연기설화가 되는 셈이다.
◆ 조신 설화의 구성 - 전형적인 환몽 구조, 액자 구성
현실 | 입몽 (入夢) |
꿈 | 각몽 (覺夢) |
현실 |
배경, 문제제시 | 소원성취→고통스런 삶→ 이별 | 각성과 귀의 | ||
절실한 소망 | 꿈속에서의 체험 | 생각해 보기 깨달음 |
생각해 보기
◆ 소재의 상징성
신화에 나타나는 꿈은 신성한 출생의 징조, 신의 명령, 예시, 병의 원인이나 치유 등을 상징한다. 우리 신화에서 꿈이 나타나는 것은 [주몽신화]가 제일 먼저이다. 신화나 그 외의 이야기데서 꿈이 중요한 소재가 되는 것은 동양이나 서양이 모두 같으며, 특히 불교나 도교에서는 제행무상(諸行無常)의 의미를 가진다. 고전문학에 나타나는 꿈의 양상은 대체로 두 가지로 나뉘는데 하나는 작품 전체의 내용이 꿈으로 이루어진 것이고, 다른 하나는 작품의 전개 과정에서 꿈이 문제 해결의 계기가 되는 경우이다. <금오신화>에 실린 이야기가 전자이며, [조웅전] 등의 꿈이 후자에 속한다. 한편 프로이트 등의 서양 학자들은 꿈을 무의식의 세계로 보고, 정신세계의 문제를 치유하는 도구로서 꿈을 중시하고 있다.
교과서 학습활동 풀이
1. 이러한 유형의 설화는 주인공이 평소의 어떤 생각 때문에 꿈 속에서 일련의 사건을 체험하고 꿈에서 깨어나 참다운 이치를 깨닫게 된다는 환몽구조(幻夢構造)를 가진 설화로, 흔히 환몽설화라고 한다.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1) 이 설화를 '현실 → 꿈 → 현실'의 환몽 구조에 따라 정리해 보자.
* 현실 : '옛날 신라가 서울이었을 때 ~ 그는 생각하는 마음에 지쳐서 깜박 잠이 들어 꿈을 꾸었다.'
* 꿈 : '꿈 속에 홀연히 ~ 조신은 꿈에서 깨었다.'
* 현실 : '타다 남은 등잔불은 ~ 알 수가 없다.'
(2) 현대 소설의 창작 방법 중, 액자 구성은 설화의 환몽 구조와 유사한 서사적 장치라고 할 수 있다. 어떤 점에서 그런지 설명해 보자.
→ 액자 구성은 이야기 속에 또 다른 이야기가 끼어 들어가 있는 구조를 지닌다. 이러한 서사적 장치는 환몽 구조와 유사한데, 환몽 구조도 현실의 이야기 속에 꿈의 이야기가 끼어 들어가 있는 구조를 갖기 때문이다.
2. 조신의 꿈 이야기를 통해 말하는 이가 궁극적으로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은 무엇인지 말해 보자.
→ 조신은 꿈에서, 현실에서 그토록 바라던 여자와 사랑을 하며 같이 살게 된다. 그러나 소망이 이루어졌음에도 조신은 현실 생활의 다양한 어려움, 즉 빈곤, 가족의 죽음, 이별 등의 삶의 괴로움에 처하게 된다. 이 설화는 조신의 꿈 이야기를 통해 아무리 소망하던 삶이라도 현실의 고난은 피할 수 없으며, 고된 현실은 한갓 꿈에 불과할 뿐이라는 종교적인 교훈을 주고 있다.
3. 이 설화는후대에 내려와 많은 소설에 영향을 주었다. 김만중의 중의 '구운몽', 임제의 '원생몽유록', '옥루몽' 등에서 그 흔적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광수에 의해 '꿈'이라는 현대 소설로 재창작되기도 하였다. 그 중, '구운몽'의 줄거리를 참고하여 다음 활동을 해 보자.
(1) '구운몽'의 성진의 삶과 조신의 꿈 속 삶을 비교해 보자.
→ '구운몽'의 성진은 꿈 속에서 당대 인간이 누릴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삶을 살았다. 출세를 하여 높은 지위에 오르며, 많은 여성을 거느리는 남성이 되어 지상의 모든 아름다운 것들을 누리고 살 수 있었다. 이에 비해 조신의 꿈 속의 삶은 처참하다. 조신은 가난으로 인하여 생활고를 겪으며, 사랑하는 사람과 마침내 이별하게 된다.
(2) 꿈에서 깨어난 뒤, 두 주인공이 깨닫게 된 내용을 비교해 보자.
→ '구운몽'의 성진은 자신이 꿈 속에서 누렸던 인생의 부귀영화가 덧없음을 깨달았다. 한편 '조신몽'의 조신은 꿈을 깬 후, 꿈 속에서 고된 인생에 싫증이 나게 되어으며, 재물을 탐하던 마음이 사라지게 되었다. 이 역시 인생의 덧없음을 깨닫는 것으로 성진의 깨달음과 그리 멀지 않다고 할 수 있다.
4. 설화는 일정한 구조를 가진 꾸며 낸 이야기이다. 설화는 전승자의 태도, 주인공과 그 행위, 증거물의 존재 여부 등에 따라 신화 · 전설 · 민담으로 나누어진다. 전설은 이야기의 진실성을 내세우는 형식이므로 증거물과 구체적인 시대가 제시되기도 한다. 이와 관련하여 이 작품의 전설적 요소를 찾아보자.
→ 이 이야기는 구체적인 시대가 제시되었으며, 증거물이 있다는 점에서 전설이라고 할 수 있다. 먼저 '옛날 신라가 서울이었을 때, 세규사 - 지금의 흥교사 - 의 장원이 명주 날리군에 있었다.'라고 시간과 공간적인 배경이 제시되었다. 그리고 증거물로서 해현에서 파 낸 석미륵이 있다. 또 조신이 세웠다는 '정토사'도 증거물이 될 수 있다.
'Reading n See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전산문/설화 해설]포산이성(包山二聖) (0) | 2022.05.05 |
---|---|
[고전산문/설화 해설]하국 대적 퇴치 설화 (0) | 2022.05.05 |
[고전산문/설화 해설]지귀(志鬼) 설화 - 대동운부군옥- (62) | 2022.05.05 |
[고전산문/설화 해설]장자못 전설(며느리 바위) (0) | 2022.05.05 |
[고시조 해설]농가(農歌) 구장(九章) -위백규- (0) | 2022.05.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