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국 대적 퇴치 설화
본 문
옛날 지하국에 사는 아귀(餓鬼)라는 도적이 지상 세계에 나타나 왕의 세 공주를 잡아갔다. 한 무사가 공주를 구출하겠다고 자진해 나섰다. 그러자 왕은 공주를 구하면 막내딸과 결혼시키겠다고 약속했다. 몇 사람의 부하를 데리고 지하국의 입구를 찾았으나 찾을 수가 없었다. 마침내 꿈에 산신이 나타나서 지하국의 입구를 가르쳐 주었다. 입구에 다다른 무사는 부하들을 지상에 남겨두고 광주리를 타고 지하국에 이르렀다. 세 공주 중 하나가 물을 길러 왔다가 무사를 만난다. 무사는 수박으로 변하여 아귀의 집으로 들어갔다.
세 공주는 아귀에게 독주를 권하여 아귀를 잠들게 하고, 그의 힘의 근원이 되는 옆구리의 비늘 두 개를 제거하고 그 목을 잘라서 죽여버렸다. 무사는 세 공주를 지상으로 올려 보냈으나 부하들이 무사는 올리지 않고 그대로 궁으로 돌아갔다. 지하국에 남은 무사는 처음 나타났던 산신의 도움으로 말을 타고 무사히 지상으로 나온다.
한편, 궁궐에서는 부하들이 공주를 데리고 왕 앞에 나아가 자기들이 구한 양 거짓말을 하여 큰 잔치가 베풀어지고 있었다. 공주들도 자신들이 살아오게 된 기쁨에 무사에 관한 일을 잊고 있었다. 잔치가 베풀어지고 있는데 무사가 나타나 자초지종을 고하자 왕은 크게 노하여 부하들을 죽이고 막내딸과 무사를 결혼시켰다.
작품 정리
◆ 해설
약한 사람이 강한 세계의 제약을 극복하고 승리를 쟁취할 수 있는 가능성을 드러내고 있는 이 이야기는 주위의 도움과 자신의 노력으로 고난을 극복하고자 하는 서민들의 꿈과 희망을 잘 드러내주는 작품이라 할 수 있겠다.
◆ 요점정리
⑴갈래 : 설화, 민담
⑵주제 : 위기극복과 노력에 의한 과업 성취
⑶구성 : 영웅 설화의 구조
♠ 기 - 공주의 피납과 무신의 지원
♠ 승 - 산신령의 도움
♠ 전 - 아귀의 퇴치
♠ 결 - 하인들의 배신과 극복
⑷의의
① 전세계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지하국 대적 퇴치 설화'의 한 유형이고, 설화의 소설화 과정을 보여줌.
② 전기(傳奇)소설의 대표적인 소재가 됨.
◆ 지하국 대적 퇴치 설화의 유형
'지하국 대적 퇴치 설화' 는 고전 소설과 관련지어 생각해 볼 수 있다. 설화가 소설의 앞선 문학 양식임을 확인할 수 있게 해 주는 작품이기 때문이다. '지하국 대적 퇴치 설화'의 줄거리는 기타 여러 고전소설에서 비슷한 형태로 자주 등장한다. '김원전(金圓傳)','최치원전','홍길동전','금령전' 등에서 그 예를 찾아볼 수 있는데, 주인공이 도적을 물리치고 여인을 구하여 같이 결혼한다는 이야기의 기본 골격은 같고 덧붙여지는 이야기만 약간씩 다를 뿐이다.
'김원전' 같은 작품은 이 설화를 확대 시켜 놓았다고 할 만하고,'최치원전'과 '홍길동전' 같은 작품은 이 설화를 부분적으로 차용했다고 할 수 있다. 결국 '지하국 대적 퇴치 설화'는 설화가 소설의 형태를 갖추기 위한 단계적 과정을 보여주는 좋은 예라 할 수 있다.
◆ 이 설화가 지닌 민담으로서의 성격
우리의 민담에는 지상과 대립되는 지하국이 나타나는 것이 많다. 지하국의 대적(大賊)이 지상의 중요한 것을 약탈하여 지하국에 숨겨 놓는데, 탁월한 능력을 지닌 영웅이 지하의 대적을 퇴치하고 그것을 되찾아 오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이 작품 역시 이러한 기본 모티프에 충실한 작품이다.
한편, 흥미성의 추구라는 측면에서도 보편성을 보여 준다. 이 민담은 신화나 설화의 신성성과 진실성에 구애받지 않고 흥미 위주로 내용이 전개되고 있다. 신화와 전설 속의 신이(神異)한 인물에 비해 보통의 능력을 지닌 인간을 주인공으로 하여 고난을 극복하고 혼인이라는 행복한 상황에 이르는 희극적이고 낙천적인 결말을 잘 보여 주고 있다. 이 작품은 우리 민족의 소박한 삶의 정신을 엿볼 수 있게 하는 것으로 편안하게 감상할 수 있는 이야기이다.
◆ 설화에 나오는 인물의 유형
이 설화에서 긍정적 인물로는 공주, 임금 및 무신과 산신령이며 부정적 인물로는 아귀 귀신과 하인들이 있었다. 임금이 무신을 잊고 하인들의 말을 믿은 것은 인간의 몽매함을, 공주들이 무신을 잊어버리고 있는 것은 이기심을 가진 인간의 한 단면을 드러낸 것이다.
'Reading n See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전산문/설화 해설]호동 왕자 설화 - 삼국사기 권14 - (0) | 2022.05.05 |
---|---|
[고전산문/설화 해설]포산이성(包山二聖) (0) | 2022.05.05 |
[고전산문/설화 해설]조신몽(趙信夢) - 삼국유사 권3.- (0) | 2022.05.05 |
[고전산문/설화 해설]지귀(志鬼) 설화 - 대동운부군옥- (62) | 2022.05.05 |
[고전산문/설화 해설]장자못 전설(며느리 바위) (0) | 2022.05.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