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산이성(包山二聖)
본 문
신라 때에 관기(觀機)와 도성(道成) 두 성사(聖師)가 있었는데 어떤 사람인지는 알 수가 없다. 함께 포산(包山, 나라 사람들이 소슬산이라 함은 범음(梵音)이니 이는 '포(包)'를 이름이다)에 숨어 살았는데, 관기는 남쪽 고개에 암자를 지었고, 도성은 북쪽 굴에 살았다. 서로 10여 리쯤 떨어졌으나, 구름을 헤치고 달을 노래하며 항상 서로 왕래했다. 도성이 관기를 부르고자 하면 산 속의 수목이 모두 남쪽을 향해서 굽혀 서로 영접하는 것 같으므로 관기는 이것을 보고 도성에게로 갔다. 또 관기가 도성을 맞이하고자 하면 역시 이와 반대로 나무가 모두 북쪽으로 구부러지므로 도성도 관기에게로 가게 되었다. 이와 같이 하기를 여러 해를 지났다.
도성은 그가 살고 있는 뒷산 높은 바위 위에 늘 좌선(坐禪)을 하고 있었는데, 어느 날 바위 사이로 몸을 삐쳐 나와서는 온몸을 허공에 날리면서 떠나갔는데 간 곳을 알 수 없었다. 혹 수창군(지금의 수성군)에 가서 죽었다는 말도 있다. 관기도 또한 뒤를 따라 세상을 떠났다.
지금 두 성사(聖師)의 이름으로써 그 터를 명명(命名)했는데 모두 유지(遺址, 남은 터)가 있다. 도성암은 높이가 두어 길이나 되는데, 후인들이 그 굴 아래에 절을 지었다.
태평흥국(太平興國) 7년 임오(壬午)에 중 성범이 처음으로 이 절에 와서 살았다. 만일미타도량(萬日彌陀道場)을 열어 50여 년을 부지런히 힘썼는데 여러 번 특이한 상서(祥瑞)가 있었다. 이때 현풍의 신도 20여 명이 해마다 결사(結社, 모임을 결성함)하여 향나무를 주워 절에 바쳤는데, 언제나 산에 들어가 향나무를 채취해서 쪼개어 씻어서 발(箔) 위에 펼쳐 두면 그 향나무가 밤에 촛불처럼 빛을 발하였다. 이로부터 고을 사람이 그 향나무에게 보시(布施)하고 빛을 얻은 해라 하여 하례하였다. 이는 두 성사의 영감(靈感)이요 혹은 산신(山神)의 도움이었다. 산신의 이름은 정성천왕으로 일찍이 가섭불 때에 부처님의 부탁을 받았으니 그 본서(本誓)에 말하기를, 산중에서 1,000명의 출세를 기다려 남은 과보(果報)를 받겠다고 했다.
지금 산중에 9성(聖)의 유사(遺事)를 기록한 것이 있는데 자세하지는 않으나 9성(聖)은 관기, 도성, 반사, 첩사, 도의, 자양, 성범, 금물녀, 백우사들이다.
찬(讚)해 말한다.
서로 지나가다 달빛을 밟고 운천(雲泉)을 희롱하던,
두 노인의 풍류 몇 백 년이 지났는고.
연하(烟霞) 가득한 구렁엔 고목만이 남았는데,
어긋버긋 찬 그림자 서로 맞는 모양일레.
반은 음이 반(般)인데 우리말로는 피나무라 하고, 첩은 음이 첩(牒)인데 우리말로는 갈나무(떡갈나무)라 한다.
이 두 성사는 오랫동안 산골에 숨어 지내면서 인간 세상과 사귀지 않고 모두 나뭇잎을 엮어 옷으로 입고 추위와 더위를 겪었으며 습기를 막고 하체를 가릴 뿐이었다. 그래서 반사, 첩사로 호를 삼았던 것인데, 일찍이 들으니 풍악(風岳)에도 이런 이름이 있었다고 한다. 이로써 옛 은자들의 운치가 이와 같은 것이 많았음을 알겠으나 다만 답습하기는 어려운 일이다.
내가 일찍이 포산에 살 때에 두 스님이 남긴 미덕을 쓴 것이 있기에 이제 여기 아울러 기록한다.
자모(紫茅)와 황정(黃精)으로 배를 채웠고, 입은 옷은 나뭇잎, 누에 치고 베짠 것 아닐세.
찬바람 쏴 쏴 불고 돌은 험한데, 해 저문 숲속으로 나무 해 돌아오네.
밤 깊고 달 밝은데 그 아래 앉았으면, 반신(半身)은 시원히 바람따라 나는 듯.
떨어진 포단(蒲團)에 가로 누워 잠이 들면 꿈 속에도 속세에는 가지 않노라.
운유(雲遊)는 가 버리고 두 암자만 묵었는데, 산사슴만 뛰놀 뿐 인적은 드물도다.
작품 정리
◆ 해제
<삼국유사>에 실려 있는 설화로, 관기와 도성이라는 두 고승의 삶을 소개한 글이다. 속세를 떠나 숨어 사는 가운데에 이심전심의 경지에서 두 고승이 나누는 우정과 아울러 자연 속에서 느끼는 감흥을 제시하고 있다.
<삼국유사>는 5권 9편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1은 「왕력(王曆)」제1과 「기이(紀異)」제1, 권2는 「기이」의 후속편, 권3은 「흥법(興法)」제3과 「탑상(塔像)」제4, 권4는 「의해(義解)」제5, 권5는 「신주(神呪)」제6과 「감통(感通)」제7과 「피은(避隱)」제8과 「1효선(孝善)」제9로 이루어져 있다. 「왕력」은 각국의 연표, 「기이」는 각국의 흥망성쇠와 신화 및 전설, 「흥법」은 불교의 수용 과정과 고승들의 행적에 관한 이야기이다. 「탑상」은 사기(寺記), 탑과 불상의 유래에 관한 내용이며, 「의해」는 저명한 승려들의 설화, 「신주」는 밀교의 이적과 이승(異僧)들에 관한 내용이다. 「감동」은 신앙의 감흥과 영험에 관한 이야기이며, 「피은」은 숨어 사는 승려들의 행적, 「효선」은 불교적 선행과 효도에 관한 미담이 주요 내용이다.
◆ 주제 → 두 성인의 거룩한 삶과 자연과의 감흥
◆ 출전 → <삼국유사> 중「피은(避隱)」부분
생각해 보기
◆ 관기(觀機)와 도성(道成)의 이름에 대해
두 사람의 이름을 풀어 보면, 관기는 하늘의 기미를 관찰할 줄 안다는 의미이고 도성은 말 그대로 도를 이루었다는 의미이다. <포산이성>은 천지의 기미를 볼 줄 아는 관기와 도를 깨쳐 깨달음을 이룬 도성, 이 둘의 우정을 담고 있다.
'Reading n See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전산문/설화 해설]화왕계(花王戒) - 설총 - (0) | 2022.05.05 |
---|---|
[고전산문/설화 해설]호동 왕자 설화 - 삼국사기 권14 - (0) | 2022.05.05 |
[고전산문/설화 해설]하국 대적 퇴치 설화 (0) | 2022.05.05 |
[고전산문/설화 해설]조신몽(趙信夢) - 삼국유사 권3.- (0) | 2022.05.05 |
[고전산문/설화 해설]지귀(志鬼) 설화 - 대동운부군옥- (62) | 2022.05.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