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ing n Seeing

사하촌-김정한(주제/줄거리)

by 휴리스틱31 2021. 6. 13.
728x90

사하촌

 

지은이: 김정한

 

주제: 일제하의 궁핍하고 부조리한 농촌의 현실

 

1936년에 발표된 이 소설의 무대는 성동리와 보광리 두 농촌이다.

일제의 친일 승려들의 포악 아래에서 사하촌 사람들은 갖은 학대와 착취에 허덕인다. 가뭄으로 흉년이 든 해에도 절에서는 소작료를 강요한다. 불응하는 사람들은 소작이 떨어지고, 잘못하면 억울한 죄명을 쓰고, 경찰에 끌려간다. 이 중에 또 들깨의 부친 치삼 노인은 복 받는다는 중의 꾀임에 물길 좋은 논 두마지기를 보광사에 시주하고, 찢어지게 가난한 살림에 심한 신경통으로 고생하며 아들에게 미안해하고 있다. 성동리 농민들이 밤낮으로 몰려가서 애원도하고, 수원지 안에까지 들어가서 물을 빼내려고 소동을 벌인 탓으로 마침내 저수지 물을 터 놓게 되었다. 그러나 중들의 행패로 가난한 소작인들의 논에는 물도 제대로 댈 수 없게 된다. 분노가 머리끝까지 치민 들깨는 뒷일이야 어찌 되든 노승이 가로막는 물길을 힘으로 터 놓는다. 또 봇목에 논을 가지고도 절 사람들 때문에 물을 대지 못하던 어진 농군 고 서방도 큰맘 먹고 물꼬를 터 놓았다가 경찰관 앞잡이 이 시봉에게 얻어맞은 일, 아낙네들은 산에서 버섯을 따다 팔고 남자들은 나무를 했다. 그러나, 그나마 마음대로 할 수 없다. 보광사 뒤 대사봉 중턱에서 나무하던 아이들이 절 산지기에 쫓겨 달아나다 상한이가 벼랑에서 떨어져 죽고 그의 할머니는 미쳐 버린다. 군청에서 주사가 나와서 실지 조사를 해 가더니 소식이 없고, 동네 안에는 주린과 불안만이 떠도는데, 마침내 보광사에서 김평을 나온다. 그들은 농사 조합의 평의원인 진주집에서 술만 마시고, 소작인들의 진정은 듣는 둥 마는 둥 논들을 훑어보고 가더니, 예년과 별다름 없는 소작료를 매겨 놓는다. 이런 흉년 속에서도 들깨의 누이 덕아는 탐스럽게 피어 철한이와 혼인을 맺게 된다. 들깨, 고 서방, 또줄이, 구장 등이 보광사 농사 조합에 가서 세를 깎아 주고 연기해 달라고 애걸했으나 그들은 도리어 논을 떼려고 한다. 고 서방은 드디어 입도 차압을 당하고 야간 도주를 해 버린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