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품종류 : 중편소설
- 발표년도 : 1919
- 발표지 창조 : 1,2호
- 작품명 : 弱(약)한 者(자)의 슬픔 작가명 현진건
- 주인공 성 격
강엘리자 신 교육을 받았으나 지위 및 성(性)의 차별을 순종하다가 후에 이것 베트 에 대한 탈피 의지를 보임
남 작 부와 지위를 가지고 이를 이용하여 사는 전형적인 귀족
남작부인 이해심 많고 품위 있는 귀부인
오촌모 봉건적 제도 속에서 살아온 평범한 농민으로 마음이 넓고 친족을 사랑 하는 전형적인 한국 여인상(힘에 도전해도 소용없다는 생각을 갖고 있 으며 겉으로는 약한 것 같으나 강한 여인상)
- 작가연구:
1900년에 평양에서 출생. 집안의 문벌도 좋았고 재산도 넉넉한 편이었으며 부친 김대윤은 평양 교회의 초대 장로였다. 소년시절 유복한 가정에서 부족한 것 없이 자라 유아독존적인 성격을 가지게 되었다. 1914년 도일 하며 중학부를 졸업하였고 1919년 다시 도일하여 기와 바다(천서 미술 학원)미술학원에 입학하여 미술 공부도 하였다. 1919년 2월 8일 <창조>를 창간 하였다. 러시아의 작가 레오 톨스토이 영향 받음.
- 작품경향:
1)진정한 서구적 자연주의 경향의 문학 확립
2)던편소설의 기반을 본격적으로 확립
3)단일한 시점을 확보한 새로운 문학형식 창출
4)문장혁신( 1.과거 시제 사용 2.He,She를 ‘그’로 통일)
;약함으로 인해 생기는 설움을 (비극성 또는 비극미) 통하여 완결된 형식(사 랑)을 추구함
- 주제 : 인간에 내재되어 있는 약함을 버리고 참사랑(강함)으로 삶을 아름답게 하 자.
- 작품 줄거리:
평민의 딸인 강 엘리자 베트는 조실부모 하였고 K남작의 집에서 가정교사로 입주하여 지낸다. 마음속으로 H의 숙에 다니는 이환을 사랑하지만 용기가 없어 길에서 만나도 표시를 하지 못하던 중 K남작의 유혹에 빠져 몸을 망치고 아기를 밴 채 쫓겨나게 된다. 갈 곳이 없는 엘리자 베트는 오촌모의 집(경성 교외에서 농사를 짓는)에 있으면서 자신의 처지가 억울하여 K남작을 상대로 소송을 하지 만 부와 지위가 있는 남작에게 지게 되고 아이마저 낙태하게 된다. 낙태된 아 이를 쥐고 그 아이에 대한 사랑과 미움이 교차하던 엘리자 베트는 약한자로서 의 ‘표본생활 20년’을 돌이켜 보며 잠이 들게 된다. 다음 날 아침 차디찬 핏덩이를 쥔 엘리자 베트는 그 아이에게서 따스한 맛이 느껴지게 되고 ‘사람이란 이런 것이로구나’하고 깨닫게 되자 앞으로의 삶은 ‘약함’을 가진 자가 아니라 ‘강함’을 가진 자로 살 것을 결심하게 되고 ‘강함’은 참사랑에게서 나온 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 소감:
현실의 삶은 힘의 지배하에 놓이게 되며 일반적인 인간은 굴복하게 마련이다.
그러나 마음 속의 ‘약함’을 버리고 자신의 삶을 사랑이라는 ‘강함’을 통해 아름답게 꾸미면 그 어떤 자의 삶이라도 가치있는 것이 된다.
'Reading n See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랑(주제/줄거리)-이광수 (0) | 2021.06.17 |
---|---|
두파산(破産) / 주제/줄거리 - 염상섭 (0) | 2021.06.17 |
술 권하는 사회(주제/줄거리) - 현진건 (0) | 2021.06.16 |
배따라기(주제/줄거리) - 김동인 (0) | 2021.06.15 |
빈처(주제/줄거리) - 현진건 (0) | 2021.06.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