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ing n Seeing

[현대시 해설]떠나가는 배 - 박용철 -

by 휴리스틱31 2021. 11. 30.
728x90

떠나가는 배
                                                         - 박용철 -

 

 

 

해           설

 

[ 개관정리 ]

 성격 : 서정적, 의지적, 낭만적

 표현

* 수미쌍관의 구조

* 나 두 야(호흡을 느리게 함으로써, 독자로 하여금 특별히 주의하게 함)

      → 아쉬운 마음과 머뭇거리는 태도의 표현.

          남성적 강인함과 슬픔을 극복하는 의지적 표현.

          차마 떠나고 싶지 않은 화자의 마음.

 

◆ 중요시어 및 시구

* 아늑한 항구 → 시적 자아의 삶의 현장

* 안개같이 물어린 눈 → 눈물을 글썽이는 인간적인 나약함

* 희살짓네 → 짖궂게 훼방하는 것

* 바람 → 시적 자아의 불안감 내포

* 앞 대일 언덕 → 장소. 정해진 목적지

 

 

◆ 서정적 자아

     → '떠나가는 배'(객관적 상관물)

         암울한 식민지 치하에서 젊은 시절을 보내지 않으면 안되는 사람.

         주어진 여건에 대한 불만과 불안으로 떠나기를 결심하지만, 일정한 목적지도 지향도 없을 뿐더러, 떠나지 못하게 막는 현실적 여건 앞에서 또한 망설임을 보이며 갈등하는, 다소 감상적 인물.

◆ 주제 ⇒ 비참한 조국의 현실 앞에서 쫓겨 떠나갈 수밖에 없는 비애

 

[ 시상의 흐름(짜임) ]

◆ 1연 : 떠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떠남에 대한 결단

◆ 2연 : 국토와 동포에 대한 미련와 안타까움

◆ 3연 : 불안한 미래에 동요되는 심정

◆ 4연 : 화자의 결연한 의지

 

 

[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

이 시는 일제하에서의 조국의 청년의 심정을 반영하고 있는 작품으로, 이 시인의 대표작으로 볼 수 있는 시이다.  내일을 기약할 수 없는 시대 현실 속에서, 그래도 미래 지향적인 의지를 지니고 '나 두 야 가련다'하고 말하고 있지만, 기실은 차마 버리고 떠나지 못하는 마음이 오히려 더욱 진하게 깔려 있다.  말하자면 떠나려는 마음과 차마 떠나지 못하는 마음이 얽혀서 갈등을 빚고 있는 것이다.  

 

1연에서는 '젊은 나이'를 '눈물로야 보낼'수 없으므로, 떠나야겠다는 마음을 서슴없이 표현하고 있으나, 2연에서는 차마 매정하게 떠나지 못하는 '안개같이 물어린 눈'을 보이고 만다.  즉 시의 화자는 '눈물'로 세월을 보내지 않기 위해서 떠나기로 작정했으나, 막상 떠나려고 하는 마당에 이르러 '눈물'을 보이게 된 것이다.  전자의 '눈물'은 일제 생활에서 나오는 눈물이지만, 후자의 '눈물'은 향수에 어린 눈물이다.  그러므로 이 시에서는 '돌아선 자'의 포즈와 '되돌아보는 자'의 포즈를 동시에 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3연에 이르러 한 실마리를 잡는다.

 

 '버리고 가는' 것이나 '쫓겨 가는' 것이나 결국 한 가지 마음이라는 사실, 그리하여 '앞 대일 언덕'도 없이, 정처없이 떠나는 것일지라도 떠나야 한다고 매듭짓는다.  이 시가 가치가 있다면 일제하에서의 청년들의 의식을 충실하게 반영해 주고 있는 점일 것이다.  그러나, 떠남에의 열망과 그것에의 주저함이 교차되고 있을 뿐, 떠남의 이유와 목적이 결여되어 다소 공허한 느낌을 주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