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허생전 - 박지원
▣ 작품 해제
‘허생전’은 당시 활발하게 진행되었던 실학의 연구를 사상적 배경으로 하여 그 시대와 그 사회가 안고 있었던 정치적, 경제적 제도의 취약점과 모순을 밝히면서 실학적인 세계관과 청나라의 실용적 문물을 수용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또한 이완의 대화를 통하여 당시 집권 사대부들의 편협성과 허위성을 비판하면서 동시에 인재 등용의 불합리성과 부도덕성을 지적하고 있다. 특히 북벌론(北伐論)을 주장하는 당시 집권층의 정책이 얼마나 허구에 가득찬 것이며 백성들의 실제적 삶을 무시한 것인가를 밝히고 있다.
▣ 정리
1) 갈래 : 고대소설, 한문소설, 풍자소설, 단편소설
2) 문체 : 역어체, 산문체
3) 표현 : 냉소적 현실 풍자
4) 인물성격
- 허생 : 비판적 지식인으로 비범한 능력과 이인(異人)다운 면모
- 변씨 : 도량이 크며, 허생으로 하여금 경륜을 펴게 함.이완과 접촉시키는 역할
- 이완 : 당대 무능한 사대부 상징. 북벌론의 핵심 인물.
5) 배경 : 시간적 - 17세기 후반 조선 효종 때
공간적 - 서울과 한반도 전역.
6)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 짜임
-발단 : 허생의 가난한 삶
① 가난한 생활 속에서 글읽기 좋아함. - 10년을 목표로 글을 읽음
② 허생의 대책없음을 아내가 질책함
③ 독서를 중단하고 집을 나섬
-전개 (1) 허생의 시험
① 변씨에게서 돈을 빌림.
② 장사를 해서 큰 이익을 남김
③ 빈 섬을 물색함.
④ 도둑을 이끌고 빈 섬에 가서 경영함.
⑤ 빈민을 구제하고 변씨의 돈을 갚음.
-전개 (2) 허생과 변씨의 교우
① 허생과 변씨의 교우관계
② 허생이 돈을 번 내력 설명
③ 허생의 운명관 피력
④ 허생이 인재 등용의 모순 개탄
-위기 : 허생과 이완의 대면
① 변씨가 이완을 소개함
② 문전박대하는 허생
③ 시사(時事) 3책 제시
④ 이완의 대답은 불가능하다 함.
-절정,결말 : 허생의 사대부 비판
① 기존의 관념적 사대부의 허례허식 비판
② 북벌론의 허구성 비판
③ 이완을 죽이려 하자 달아남
④ 허생이 종적을 감춤
* 주제 : (성리학적 관념에 젖어 있는)양반의 무능 비판 및 선비의 자아각성 촉구 - 실학자의 관점
* 출전 : [열하일기] 중 옥갑야화
<참고> 연구자에 따라 박지원은 '양반계층 타파'라는 의도를 작품을 통해 제기하고 있다고 보기도 하지만, 이는 잘못된 것이라 생각합니다. 사회 갈등론보다는 사회 기능론(機能論)의 입장에서 양반은 양반답게, 상민은 상민답게 제 자리에서 제 기능을 다할 때 사회가 건강하게 유지된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던 것으로 생각합니다.
'Reading n See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지당에 비뿌리고/♧ 窓(창) 내고쟈 窓(창)을 내고쟈 -작자미상/♧ 오동꽃- 이병기 (0) | 2021.06.24 |
---|---|
♧ 관동별곡- 정철 / 해설 및 정리 (0) | 2021.06.23 |
♧ 추강에 밤이 드니 물결이 차노매라. : 월산대군 시조 (0) | 2021.06.23 |
♧ 이화에 월백하고 은한이 삼경인 제 : 이조년 시조 '다정가(多情歌)' (0) | 2021.06.23 |
♧ 박씨전(朴氏傳, 일명 박씨부인전) : 작자 미상 고대 소설 (0) | 2021.06.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