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화에 월백하고 은한이 삼경인 제 : 이조년 시조 '다정가(多情歌)'
이화(梨花)에 월백(月白)하고 은한(銀漢)이 삼경(三更)인 제 - 봄밤의 배경
일지춘심(一枝春心)을 자규(子規)ㅣ야 알냐마는 - 봄밤의 애뜻한 감정
다정(多情)도 병(病)인 양하여 잠 못 드러 하노라. - 봄밤의 애상
<현대어 풀이>
배꽃이 피어있는 달밤, 은하수 흘러가는 삼경에
한가닥 가지에 피어나는 봄뜻을 자규가 알겠는가마는
정이 많음도 병으로 여겨 잠 못 들어 하노라.
* 표현: 시각적 심상과 청각적 심상이 잘 어울리는 봄밤의 애상적 정조를 심화시키고 있다.
* 주제 : 봄밤의 애상적인 정감
* 한역 - [해동 소악부]
梨花月白三更天(이화월백삼경천)
啼血聲聲怨杜鵑(제혈성성원두견)
儘覺多情原是病(진각다정원시병)
不關人事不成眠(불관인사불성면)
1. 우선, 이조년의 이른바 '다정가'는 봄밤에 느끼는 여러 가지 감정(多情)'을 노래한 작품인데.....여기서 감정은 자연사랑의 정서라고 하기는 어렵습니다.
多情이므로....한 마디로 규정할 수 있는 것이 아니지만, 기뻐하고 즐거워 하는 분위기는 전혀 아닙니다. 애틋함도 될 수 있고, 봄이 아쉽게 지나감을 안타까워할 수도 있어요.
한 마디로 말씀드리면, 애상감(哀傷感-가슴 아프게 느낌)이라 할 수 있어요.
---참고로 현대시에서 김억 시 <봄은 간다>와 분위기가 비슷해요. 찾아보세요.
2. 자규(소쩍새)가 알겠는가마는....자규는 전혀 일지춘심(봄 날의 애상적 정서를 환기시키는 소재)을 모를 것이라는 뜻이 아니고....소쩍새 울음 소리도 슬프지만, 내가 슬퍼하는 마음과 똑 같지는 않겠다는 뜻입니다. 이것은 감정이입의 기법의 변용으로 봅니다.
( "내 마음이 슬프므로 소쩍새도 슬프게 울고 있구나!" )
3. 흰색의 이미지가 많이 사용되었죠? 달빛(월백), 배꽃(이화), 은한(은하수)....순결의 이미지가 더 애틋함과 애상감을 환기시켜 주고 있어요.
'Reading n See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허생전 - 박지원 (0) | 2021.06.23 |
---|---|
♧ 추강에 밤이 드니 물결이 차노매라. : 월산대군 시조 (0) | 2021.06.23 |
♧ 박씨전(朴氏傳, 일명 박씨부인전) : 작자 미상 고대 소설 (0) | 2021.06.23 |
◆ 시인 정지용(1902-1950)의 시세계 ◆ (0) | 2021.06.22 |
피보나치 수열 (0) | 2021.06.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