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케팅

제일모직-앞서가는 트렌드 분석으로 디자인 경쟁력 확보

by 휴리스틱31 2021. 4. 29.
728x90

제일모직

앞서가는 트렌드 분석으로

디자인 경쟁력 확보

 

빈폴, 로가디스, FUBU 등은 이제 소비자들에게 명품으로 인식되고 있는 제일모직의 대표 브랜드이다. 이러한 제품들이 대표 브랜드가 되기까지는 물론 우수한 제품력과 뛰어난 마케팅 활동이 뒷받침되어야겠지만, 무엇보다도 제일모직은 브랜드 중심 경영, 뛰어난 디자인 개발, 삼성패션연구소를 통한 트렌드 및 소비자 조사 등을 통해 꾸준히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다. “브랜드 가치는 디자인과 품질로 고객에게 최고의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생겨나는 것이다.”라는 슬로건 아래 Nice Quality, Good Price, Best Service라는 핵심 가치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브랜드 중트렌드 및 소비자 조사를 위한 삼성경제연구소, 삼성패션연구소를 통한 다양한 조사 및 분석을 통해 소비자들이 원하는 제품 개발 및 타사의 정보 제공을 통한 국내 트렌드 선도력 등은 제일모직을 최고의 패션기업이라고 말하기에 조금도 손색이 없다. 또한 이러한 조사와 분석을 통해 도출된 이슈를 구체화해서 표현할 수 있는 제일모직만의 디자인 전략 또한 Nice Quality를 추구하는 브랜드 중심 경영의 핵심이 된다.

 

 

 

 

1. 브랜드 중심 경영

 

제일모직의 글로벌 시대를 위한 21세기 경영전략은 가치 경영 및 글로벌 경영으로 재도약 발판 마련과 기업 진화가 아닌 혁신으로의 대응이다. 이를 위해서 첫 번째 브랜드 가치 최우선 경영, 두 번째로는 독특한 브랜드 이미지 창출, 세 번째로는 글로벌 상품력 창출, 네 번째는 글로벌 브랜드 육성을 들 수 있다.

제일모직은 브랜드 가치 최우선 경영을 2000년 이후 현재까지 일관된 경영방침으로 추진하고 있다. 노세일 정책 및 가격합리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현재 갤럭시, 로가디스를 제외한 15개 브랜드는 노세일 정책으로 일관하고 있다. 또한 브랜드 가치 제고를 위한 질 위주의 마케팅을 전개해서 전 브랜드의 CSI 조사를 통한 CS 경쟁력 우위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으며, 브랜드 중심의 효율적인 조직 정착을 통해 선진형 SPA 패션 전문 조직으로 업계를 선도하고, 독립채산제를 정착하였다.

빈폴, 후부, 갤럭시 등 브랜드의 선택과 집중을 통한 다수의 시장 리딩 브랜드 확보 및 최적의 포트폴리오를 구축하였으며, 브랜드 가치 증대를 위한 투자 확대 차원에서 디자인력 증진을 위한 핵심 인력 발굴과 VMD & SI의 차별화를 증진하고, 고객과 시장과의 관계 증진을 위해 CRM 제도를 도입하였다. 이러한 노력들을 통해 무형 자산, 특히 브랜드 자산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브랜드 가치 최우선 경영을 추진하고 있다.

독특한 브랜드 이미지 창출을 위해서는 Nice Quality, Good Price, Best Service를 통해 브랜드 핵심 가치를 도출하고, 브랜드 Identity 증대 및 관리를 위해 브랜드 로고 관리 및 특허권 확대, 브랜드 대표 디자인 상품 개발등을 추진하고 있다.

제일모직은 품질력, 디자인력, 기술력을 중심으로 글로벌 상품력 창출을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 품질력을 위해서는 장인정신에 빛나는 수공예 기법으로 품질 우선 제품 생산을 통한 품질 일류화로 명품인증을 획득했으며, 패션 선진국에 디자인 센터를 설립하고 세계 우수 디자인 인력의 확보, 디자인연구소 운영 등을 통한 디자인력, 그리고 세계 최고의 신사복 봉제기술인 비접착 기법 도입, 세계 최초 150 수 모직물 개발, CAD/CAM 시스템 도입으로 제품 모형의 Global Standard 확보 등을 통해 기술력 증진에도 노력하고 있다.

글로벌 브랜드 육성을 위해 제일모직은 현지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시장 진입 전략을 펼치고 있다. 중국, 미국, 유럽, 일본 등 4개 지역에 대한 브랜드 특허권을 출원하였으며, 현지 시장 및 소비자에 대한 심층 조사를 통해 다양화된 글로벌 시장의 니즈 파악을 통해 단계별 시장 공략을 운용하고 있다.

 

 

 

 

2. 디자인 경영 인프라 및 프로세스

 

디자인 정보수집 인프라

상품출시 전 소비자의 수요, 트렌드, 해외시장 동향 등의 정보수집을 위해서 삼성패션연구소, 삼성경제연구소, 해외패션기관 및 제휴 기관, 해외 모니터 및 지사, 제일기획 등의 연구기관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고, 상품 출시 후에는 브랜드 경쟁력 및 고객 반응을 다시 전문기관을 통해 다각적으로 분석한 후 상품 출시 전에 활용했던 기관에 피드백함으로써 효과적인 브랜드 관리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다양한 정보수집 및 분석 시스템으로 그룹 인프라에서는 삼성경제연구소를 통해 거시 환경과 마케팅 환경에 대한 일반적인 분석을 연구하고 있으며, 전문 연구소를 통한 패션 환경 분석은 1993년에 설립된 삼성패션연구소에서 디자인 및 리서치의 분야별 27명의 전문 연구인력에 의해 시즌별 트렌드 전망, 패션시장 전망, 소비자 패션 구매지수 조사, 캐주얼 착장 조사 등의 정보수집과 분석을 진행하고 있다. 국내 트렌드 및 시장조사는 삼성패션연구소와 공동으로 국내 시장조사, 경쟁사 및 유통업체 조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해외의 경우는 미국, 일본, 홍콩, 영국 등 해외 현지에 상품기획 인력의 연 4회 상품기획인력 방문을 통한 해외 트렌드 및 정보를 획득하고 있다. 고객반응조사 체계화 및 피드백을 위해서 CSI 조사, 매장 모니터링, TOPFAS, POS 시스템 등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디자인 개발 및 관리 프로세스

제일모직의 디자인 개발 및 관리 프로세스는 다음 표와 같이 철저한 시장분석을 통한 상품개발과 제품의 평가를 위한 테스트를 거친 상품의 출시, 그리고 그 이후 조사된 소비자 및 시장, 트렌드 조사를 다시 다음 상품개발을 위한 분석에 활용되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브랜드 중심의 의사결정 프로세스

제일모직의 브랜드 중심의 의사결정은 크게 2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로는 SPA형 사업구조 확립, 두 번째로는 브랜드 매니저 제도 정착을 둘 수 있다.

첫 번째 SPA형 사업구조 확립의 SPASpecialty Store Retailer of Private Label Apparel, 주로 미국 의류시장에서 발전된 제조 · 판매 일체형 기업 조직으로 정교한 POS 시스템과 후속 공급을 기반으로 의류시장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발휘하는 방식으로 GAP, ZARA 등이 이러한 기업의 대표적인 기업이다. 제일모직의 경우 기존의 상품기획/제조/판매 등 기능별 사업구조를 선진국의 SPA형 브랜드 조직으로 개편하여 자율/책임 경영과 시장 반응 속도 제고를 도모하고 있다.

브랜드별 독립채산제로 기획-판매의 전 프로세스에 대한 권한과 책임을 BM(Brand Manager)에게 위임하여 신속한 의사결정으로 소비자 Needs/Trend의 적시 반영과 시장 중심의 Merchandising 추구 및 효율보다는 효과를 중시하는 사업구조의 확립을 가져왔다.

두 번째로 브랜드 매니저 제도 정착에서는 사업 Unit/브랜드별 독립채산제로 Cash-flow 및 손익중심 평가, 자율 및 책임경영 실천의 일환으로 권한의 대폭적 위양과 결과에 대한 철저한 책임 부여, 사업 성과에 따른 보상 차별화 등을 통해 브랜드 매니저 중심의 브랜드 경영을 실현해 나가고 있다.

 

 

 

 

Fashion Information System

Fashion Information System2가지로 나뉘며, Fashion Marketing Information SystemFashion Decision Supporting System이며 전반적인 트렌드, 소비자 조사, 경쟁사 정보 등을 바탕으로 Fashion Forecasting Analysis를 통해 시장 및 고객 대응전략을 수립하는 제일모직의 정보관리 시스템이다.

 

디자이너의 능력개발 및 관리

디자인 인력의 능력은 학습능력과 개개인의 본원적인 자질로 타고나는 천재성끼, 표현력 등의 획득 능력으로 구성된다. 제일모직은 디자인 인력에 대한 전문직 제도를 도입하여, 디자인 인력의 경우 직책 개념의 ‘Chief(실장)’와 처우 및 호칭상의 자격 대우제를 병행 운영하고 있다.

먼저 Chief제에 대해 살펴보면 Chief 인력의 임명은 1Brand 1Chief를 원칙으로 하며, Chief 인력의 명령은 일정한 자격을 갖춘 자 중 팀장의 임명 요청에 다라 대표이사가 임명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Chief 인력의 권한과 책임은 브랜드와 제품의 디자인 기획방향 결정 및 디자인력 강화를 위해 효율적 업무 분담권 부여 및 브랜드와 제품 특성에 적합한 디자이너의 채용 추천, 양성 및 1차 평가권이 부여된다.

자격 대우제는 개개인 정도의 차와 경력연수에 따라 필요자격 충족요건 대비 등급을 분류하며, 업무의 특성상 연공서열의 직급 체계보다 전문성이 중시되는 직무임을 감안, 사무직과 다른 유형으로 관리하고 있다. 즉 창의적 문화 조성을 위한 자격 대우 정책을 실시한다.

 

 

 

 

3. 디자인 경영전략 및 실행

 

디자인 전략

브랜드 가치는 디자인 및 품질로 고객에게 최고의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생겨나는 것이라는 슬로건 아래 소프트와 하드가 일치하는 상품, 수요와 공급이 일치하는 상품, 사람에게 좋은 디자인이라는 3가지 컨셉으로 세계 최고의 초일류 디자인 개발을 통해 인류의 신생활 가치를 창조하는 초일류 디자인 기업으로 성장하겠다는 디자인 전략을 가지고 있다.

 

디자인 전략 실행

디자인 혁명

이러한 디자인 전략을 실행하기 위해 제일모직은 디자인 기초 활성화를 위한 환경 조성의 필요성을 느끼고 1996년 디자인 혁명을 선포하게 된다. 주요 내용으로는 디자인 환경조성을 위해 제도 및 관행 개선, 동시 개발체제의 조기 구축, 전 임직원의 디자인 마인드 제고, 우수 디자이너 확보 및 육성책을 추진한다. 이어 1999PI의 본격적인 전개, 지속적인 우수 인력 확보, 창의적 문화조성을 위한 관련 제도 정착, 디자인 글로벌 네트워크 가동, 외관 품질 개선, 디자인 위상 제고 및 Creative 분위기 제고 등의 활동을 통해 본격적인 디자인 경영의 실천 단계를 거치게 된다. 이어 마지막으로 2003년 초일류 품위 제품 창출, 전략적 해외 용역 및 해외 거점 활성화, 해외 현지 완결형 개발 체제 완성 등을 통해 1996년 선포되었던 디자인 혁명을 완수한다.

디자인 일류화 추진

제일모직은 패션 비즈니스 경쟁력의 핵심은 디자인경쟁력, Soft(감성) 경쟁력으로 인식하고 경쟁우위 전략의 일환으로 핵심 과제를 설정한 후 지속적인 디자인 일류화를 추진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창조적 발상을 위한 분위기를 조성하고, 창조적 발상을 저해하는 반 창조적 제도 및 관행을 철폐하였다. 창조적 발상을 위해 프로 디자이너 전문직제의 신설과 시즌별 디자인 실명제 개최, 전 시즌 실적 및 디자인 완성도 평가 등을 통한 베스트 제품 선정 등을 골자로 한 사내 디자인상 제도를 신설하였다. 또한 우수 디자인 인력 확보 및 양성을 위해 해외 출신 우수 디자인 인력을 채용하고, 또한 디자인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전문교육을 이수한 우수인력의 선발 및 1년간 디자인 기능 연수 프로그램 이수 후 채용하는 방안을 시행하고 있다. 또한 해외 고문 및 자문의 활용 및 용역 제도를 적극 활용하고 있으며, BI를 본격 전개함으로써 디자인 일류화를 추진하고 있다.

 

4. 디자인 경영 성과

 

제일모직은 이러한 브랜드 중심 경영, 체계적인 트렌드 및 고객조사와 합리적인 디자인 프로세스 및 전략을 통해 현재 시장에서 Nice Quality, Good Price, Best Service 정신을 실현하는 제품개발을 통해 타사 대비 월등한 매출을 보이고 향후 제일모직은 이러한 뛰어난 제품 개발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제품 경쟁력을 확보하고 세계시장에서 그 위상을 드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