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ing n Seeing

Ballad(발라드)

by 휴리스틱31 2021. 6. 20.
728x90

Ballad(발라드)

 

 

<본문해석>

A poem, usually of simple construction, that tells a story.

-담시(민요)는 일반적으로 간단한 구조로 이야기를 전달하는 시이다.

 

Many English and Scottish ballads are quatrains, in which the first and third lines

-대부분의 영국과 스코틀랜드의 담시는 첫 번째 줄과 세 번째 줄이 두 번째와 네 번째

are longer than the second and fourth.

줄보다 더 긴 4행으로 구성 되어있다.

 

Many of them are traditional and deal with love, war, travel and adventure.

-담시의 다수가 전통적이며 사랑과 전쟁, 여행기와 모험담 등을 다루고 있다.

 

They are enjoyable because they are direct, fast moving and contain brief but telling details.

-담시는 직설적이며 전개가 빠르고 설명이 복잡하지 않고 간결해서 많은 인기를 누렸다.

 

For instance, the repeated line 'And no birds sing' from Keat's 'La Belle Dame sans Merci' is sufficient to convey the poem's terrible bleakness.

-예를 들어 Keat의 시 ‘La Belle Dame sans Merci(잔혹한 미녀)’에서 반복되는 ‘And no birds sing(그리고 노래하는 새들은 없네)'라는 구절은 시의 삭막한 분위기를 충분히 전달해준다.

 

 

<발라드의 유래>

 

담시는 설화체 시(narrative poetry)에 속하는 것으로 어원은 춤춘다는 뜻의 라틴어 ‘ballare’에서 유래하여 일반적으로 민요 혹은 담시라고 불렸다. 주로 길이가 약 20행에서 150행에 이르는 짧은 설화체의 시인데 음유시인들이 4행으로 간단하게 구성한 시연 속에 고도로 잘 엮어낸 이야기를 담아서 민요 형식의 노래로 만들어 퍼트리기 시작했다. 대부분의 담시에 사용된 연은 너무나도 흔히 사용되어서 담시 율격(Ballad meter)'라고 불렸다. 4행으로 이루어진 연으로 둘째 행과 넷째 행이 압운한다. 거의 모든 담시에 이런 형식들이 사용되었으나 모든 발라드에서 담시 율격이 사용된 것은 아니었다. 담시는 구성요소에서 춤이나 멜로디 보다는 이야기의 전달에 더 많은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하고자 하는 이야기를 간단하고 직접적으로 전달한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12세기 프랑스에서 음유시인들에 의해 최초로 발생한 담시는 영국에서는 15세기 경 처음 등장했고 이후 크게 유행하게 되었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것은 13세기 경의 작품이고 극소수가 15세기에 기록되었으며 이후부터는 크게 유행하여 많은 작품들이 쏟아져 나왔다.

중세의 문학들이 주로 교회나 궁정의 지식계층을 중심으로 시작되었던 것에 비해서 담시는 민중 속에서 떠돌던 영웅들의 이야기나 연애 이야기 등을 주제로 삼아서 태어나게 된, 세대에서 세대로 전해지는 일종의 구비 문학의 성격이 짙은 장르로 출발했다. 비록 그 소재를 위해 상류 계급 문학에 의지하는 점도 있었지만, 이야기의 태도나 스타일에서 상류계급의 문학과는 분명한 차이가 있었다.

담시는 대체적으로 만인에게 존경받는 인물을 대상을 중심으로 한 일화를 다루고 있는데, 주로 대중에게 잘 알려진 함축적인 이야기와 개인적인 감정이 배제된 인물 묘사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자세한 배경 설명이나 장면의 묘사, 주변 환경에 대한 서술이 빈약하며 등장인물들에 대한 심리적 묘사가 거의 없다. 이처럼 작가의 부연 설명이나 해설이 없기 때문에 종종 해석의 문제를 야기 시키기도 했다. 게다가 이야기의 구절들은 연결되지 않고 한 점에서 다른 점으로 뛰어넘기도 한다. 이렇게 한 점에서 다른 점으로 크게 뛰어넘는 것이 전형적인 담시의 표현 양식이다.

예를 들면 Walter Scott<The Wife of Usher's Well> -어셔즈 웰의 여자- 를 보면 여자가 세 아들을 바다로 보내는 장면에 이어서 바로 그 세 아들이 죽었다는 소식을 듣는 여자의 모습을 서술하는 장면으로 이어지는 것이 그런 것이다. 대부분의 담시는 이런 특징을 가진 설화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Lord Randal>이나 <Edward>와 같은 담시들은 순전히 두 인물 사이의 대화(dialogue)로 구성되어 있다. 독자들은 오로지 인물간의 대화를 통해 사건을 알게 되고 마지막에는 어떤 결말이 지어지는지 알게 된다. 이런 것을 상황 담시(situation ballads)’라고 한다.

담시와 같은 구비문학은 판에 박힌 어구(stock phrases)나 상투적 어구(formnlae)가 많은 어법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를 담시 어법이라 하며 한 담시에서 나왔던 구절이 다른 것에서 동일한 형태나 매우 유사한 형태로 발견되기도 한다.

발생 초기의 입에서 입으로 구전되는 형식의 담시를 전승담시(folk ballad), 통속담시(popular ballad)라고 했으며, 305편의 발라드들을 기록한 F.J. Child<English and Scottish Popular Ballads>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대중 담시-를 대표작으로 꼽을 수 있다.

한 때는 담시가 문학인들로부터 멸시를 받았지만(서사시를 최고로 생각하고 서정시를 낮게 평가했기 때문) 18세기 중엽부터 대중문학에 대한 관심이 커짐에 따라 발라드가 전문적인 작가들에 의해 모방되어 문학적인 성격을 지니게 창작한 것이 문학적 담시(literary ballad)- 우리가 일반적으로 담시라고 부르는- 것이다. 문학적 담시는 낭만주의 시인들의 시대로부터 보편화되었다.

그리하여 이 시기에 WordsworthColeridge의 작품인 서정적 담시집 <Lyrical Ballads>를 시초로 하여 위에서 언급한 Keat<La Belle Dame sans Merci>, Coleridge<The Rime of the Ancient Mariner> -늙은 노부수의 노래-, 브라우닝의 <Hervi Riel>, Scott<Lochinvar> 등 수 많은 담시들이 쏟아져 나왔다.

Keat의 시는 초자연적인 요부를 사랑하다 멸망해버린 어는 남자의 이야기를 그린 것으로서 이 시는 담시의 전통적인 운율 구조와 이야기, 대화, 그리고 후렴으로 구성되어 있는 전형적인 문학적 담시로 통한다.

담시 중에서 가장 위대하고 훌륭한 작품은 코울리지가 <서정적 담시집>에 기록했던 <늙은 노부수의 노래>를 꼽을 수 있는데, 이 시는 다른 산문적 이야기보다도 흥미진진한 이야기 전개 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그 내용 심오한 도덕적정신적인 문제들과 체험을 다루어 인간에게 무슨 죄든지 회개를 통하여 용서를 구하면 구원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주제로 하여 양심에 대한 교훈을 전달해 주고 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를 받았다.

 

 

 

<늙은 수부의 노래 요약>

전체 7부로 구성.

1- 사랑, 사교, 축하를 암시하는 결혼식과 버림받고 방랑하는 수부의 생애와 대조.

항해의 시작, 폭풍우 때문에 남극에 도착해 얼음에 갇혀 있다가 알바트로스를 만나 얼음에서 탈출하여 다시 북쪽으로 항해를 시작한다. 도중에 늙은 수부가 알바트로스 를 쏘아 죽인다(신성모독)

2- 북쪽으로의 순조로운 항해, 적도에서 바람이 없어 항해가 멈추고 물이 떨어져 고통을 받게 됨. 고통을 받게 된 원인은 늙은 수부가 자연을 대표하는 알바트로스를 죽였기 때문이라고 하여 다른 수부들로부터 원성을 들음.

3- 초자연적인 배 한 척이 두 유령같은 인물 <죽음Death>와 죽음 속의 삶<Life in Death>를 태우고 나타남. 그들은 수부들을 걸고 주사위 놀이를 하는데 <죽음 속의 삶>이 늙은 수부를 선택하고, 나머지 수부들은 늙은 수부를 저주하며 죽어간다.

4- 늙은 수부의 정신적 고뇌가 이어져 죽기를 원하지만 죽을 수가 없고 기도조차 할 수 가 없게 됨. 시간이 흐르고 늙은 수부가 홀로남아 자연을 바라보며 그 아름다움에 대 해 찬탄하자 사랑하는 힘이 늙은 수부에게 돌아오고 다시 기도도 할 수 있게 된다. 고뇌로부터의 해방 됨.

5- 늙은 수부는 잠이 들었다가 깨고 비가 내렸음을 발견한다.() 늙은 수부의 정신적 메마름이 해소됨. 그의 구원은 시작되었지만 아직 회개의 긴 과정이 남아있다. 곧 한 무리의 천사들이 죽은 선원들의 시체에 생기를 주고 배는 다시 항해를 시작함. 시체 들은 새벽에 떠남.

6- 혼수상태의 늙은 수부는 두 정령(자연)들이 그에게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지 논의 하는 말을 듣는다. 그가 깨어났을 때, 배는 달빛(은총)아래 순조로이 항해를 계속하고 있다. 죽은 수부들로부터의 저주에서도 속죄되어 출발했던 고향 항구로 돌아가고 있 음을 깨닫게 된다. 곧 은둔자를 태운 보트 한 척이 다가오고 늙은 수부는 알바트로스 를 죽인 죄를 속죄시켜 주기를 희망한다.

7- 은둔자의 보트가 다가올 때 배가 가라앉고, 수부는 해안에 도착해 은둔자에게 속죄해 달라고 부탁한다. 그와 동시에 수부는 그가 겪은 일 전부를 다시 이야기하도록 강요 당하는 고뇌에 빠지게 되며 이후에도 계속 속죄를 위해 그의 경험을 말할 수 밖에 없 게 된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