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1698

[사설시조 해설]어이 못 오던가 ~ 어이 못 오던가 ~ [현대어 풀이] 어이 못 오던가 무슨 일로 못 오던가 너 오는 길에 무쇠 성을 쌓고 성 안에 담 쌓고 담 안에 집을 짓고 집 안에 뒤주 놓고 뒤주 안에 궤를 짜고 그 안에 너를 필자 모양으로 결박하여 넣고 쌍배목의 걸쇠 금거북 자물쇠로 꼭꼭 잠가 있더냐 너 어이 그리 아니 오느냐. 한 해도 열두 달이요 한 달도 서른 날에 나를 와서 볼 하루가 없으랴. [이해와 감상] 오지 않는 사람에 대한 그리움과 그에 따르는 야속한 마음을 읊고 있는 작자 미상의 사설시조이다. 기다리는 괴로움을 형상화하기 위해 이 작품에서는 과장적이고 절실한 체험의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 생명력 넘치는 언어의 사용(중장)과 더불어 연쇄적 표현의 지속과 구체성에 의해 박진감을 지니게 된다. 사설시조는 흔히 현실의 괴로.. 2022. 5. 20.
[사설시조 해설]한 잔 먹세 그려 ~ - 정 철 - 한 잔 먹세 그려 ~ - 정 철 - [현대어 풀이] 한 잔 먹어 보세, 또 한 잔 먹어 보세. 꽃 꺾어 셈을 하면서 한없이 먹어 보세 그려. (마음껏 음주할 것을 권유함.) 이 몸이 죽은 후면 지게 위에 거적을 덮어 꽁꽁 졸라 매어져서 가거나 호화로운 상여에 만인이 울면서 따라가거나, 억새풀과 속새와 떡갈나무와 백양나무 숲에 가기만 곧 가면, 누런 해, 흰 달, 가는 비, 함박눈, 음산한 바람이 불 때 누가 한 잔 먹자고 할 것 같은가. (죽은 후의 무상감을 가정함.) 하물며 무덤 위에 잿빛 원숭이가 휘파람을 불 때, 뉘우친들 무엇하리. (죽은 후에 후회해도 소용이 없음을 밝힘.) [이해 및 감상] '장진주사'라는 사설시조로 멋진 권주가에 해당되는 시조이다. 사람이 한번 죽고 나면, 거적을 덮어 지게에 .. 2022. 5. 20.
[사설시조 해설]어흠 아 긔 뉘옵신고 ~ 어흠 아 긔 뉘옵신고 ~ [현대어 풀이] "어흠, 아 거기 누구신가", "건너편 불당에 동령승(동냥하는 중)이 내올시다" "홀 거사 홀로 자는 방안에는 무엇하러 와 계십니까?" "홀 거사님의 노감투 벗어서 걸어놓는 말 곁에, 내 고갈 벗어서 걸러 왔습니다." [이해와 감상] 홀거사와 동령승인 두 남녀 수도자의 애정 행각을 문답체의 극적 구성 형식에 얹어 표현하고 있는 작품이다. 눈 앞에서 벌어지는 행위의 파격성에도 불구하고, 화자는 그들의 대화만으로 독자에게 파계의 정황을 전달할 만큼 냉정함을 잃지 않고 있다. 즉 관찰자로서만 기능하는 작자의 냉정한 태도, 그것이 이 작품의 시적 긴장을 끝까지 유지시켜 주고 있다. 또한 이 작품의 특징 중 하나는, 성에 관한 한 남성보다는 상대적으로 자유롭지 못한 당대 .. 2022. 5. 20.
[사설시조 해설]서방님 병 들여 두고 ∼ -김수장- 서방님 병 들여 두고 ∼ -김수장- [ 현대어 풀이 ] 서방님 병들어 두고 먹일 것이 없어 종루 시장에서 머리카락을 팔아 배 사고 감 사고 유자 사고 석류를 샀다. 아차차 잊었구나, 오색 사탕을 잊었구나. 수박에 숟가락 꽂아 놓고 한숨 지어 하노라. [ 이해와 감상 ] 아내가 병든 남편을 위해 화채를 만들어 주려고 머리카락을 팔아 재료를 샀는데, 오화당을 빠뜨렸다며 한탄하고 있는 모습을 다소 해학적으로 그려내고 있다. 평범한 아낙네가 남편을 위하는 모습을 관찰해서 표현한 재미있는 작품이다. 이 노래는 그 소재가 매우 특이하다. 마치 한 폭의 민화를 보는 것처럼, 서민들의 평범한 삶의 모습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다. 이는 조선후기 평민사상과 실학 정신의 영향으로 볼 수 있으며, 충효의 이념이나 음풍농월을 일.. 2022. 5. 19.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