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경영64 인사관리 사례(삼성생명) 인사관리 사례(삼성생명) 의도적인 직무 로테이션을 통해 적절한 시련 부여 삼성생명보험은 국내 금융시장에 안주하지 않고 한국 금융을 대표하는 글로벌 기업, 즉 21세기 글로벌 종합금융 서비스회사라는 비전을 설정하였다. 이에 따라 인사측면에서도 핵심인재의 확보와 양성은 비전달성을 위한 가장 선행적이고 기본적인 과제로 부상하게 되었다. 핵심인재 유지 ․ 양성전략 삼성생명의 핵심인재 유지 ․ 양성을 위한 기본 전략은 크게 세 가지 관점에서 추진되고 있다. 첫째, 인사제도 측면에서 전 임직원들이 연공과 직급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의 능력을 마음껏 펼칠 수 있는 직무 ․ 성과중심의 선진형 인적자원관리 체계로의 전환이며 둘째, 전 직원들이 각자의 직무에서 21세기 글로벌 종합금융회사에 근무하는데 손색없는 능력을 갖추게.. 2021. 5. 2. 인사관리 사례(삼성 SDS) 인사관리 사례(삼성 SDS) 기술력과 통찰력을 보유한 ‘T자형’ 인재 삼성 SDS에서 추구하는 핵심인력은 특정 전문분야에서는 누구에게도 뒤지지 않는 깊은 지식을 보유함과 동시에 어떤 분야에 관해서도 기본적인 이해와 분석이 가능한 해박함과 통찰력을 보유한 ‘T자형’ 인재를 의미한다. 이는 업종지식, IT 요소기술, 업무지식의 세 가지 축 각각에 대한 입체적 전문성을 요구하며 그 외 현상에 대한 논리적 분석능력, 새로운 지식 및 기술에 대한 학습능력, 다각적 상황에 대한 종합 및 창조능력, 효과적 설득능력 및 커뮤니케이션 능력 등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조직을 통하여 개인의 발전과 비전을 실현하고자 하는 직업관과 긍정적 변화에 능동적인 혁신성향, 성실성과 책임감을 중시하는 개인적 신용과 신의, 고객 및 부하.. 2021. 5. 2. 인사관리 사례(동부그룹) 인사관리 사례(동부그룹) 1. 일반우수 인력 ․ 핵심우수인력 ․ 후계자로 구분하여 관리 동부 그룹의 인재관리는 그룹차원의 경영혁신 과제 중 하나이다. 동부그룹은 2003년도에 경영혁신 공통 테마로‘성과주의 경영 정착’과 ‘우수인력 확보 ․ 양성’ 두 가지를 설정하였다. 먼저 성과주의 경영의 정착은 성과급 제도 및 공정한 평가제도의 정착을 중심으로 한 경영성과의 향상을 위한 각종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우수인력의 확보 및 양성은 회사의 경쟁력 향상에 선결되어야 하는 혁신과제로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우수인력의 정의, 확보 및 양성에 전략적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2. 일반우수인력 ․ 핵심우수인력 ․ 후계자로 구분, 관리 우수 인력은 회사의 핵심역량을 강화하기 위하여 전략적으로 확보 ․ 양성.. 2021. 5. 2. 인사관리 사례(SK텔레콤) 인사관리 사례(SK텔레콤) 1. SUPEX Leader와 Champion SK텔레콤은 2000년도에 벤처 붐이 일기 시작하면서 우수인력 이탈이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이러한 상황은 인사담당자에게 커다란 충격을 주었다. 이때부터 Talent Management가 필요하다는 인식을 갖게 되었다. 그 당시 구성원 조사를 통해 니즈를 파악한 결과 ① 최고수준의 전문가로 성장 ② 일을 통한 자아실현 ③ 성과에 상응한 파격적 보상 ④ 자발적 ․ 의욕적으로 일할 수 있는 근무환경을 원하고 있었다. 하지만 탤런트에 대한 개념정의도 없었고 평등주의가 지배적인 상황에서 탤런트 매니지먼트를 시행하는 것은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개념에 대한 명확한 정의와 유지를 위해 많은 고민을 하였지만 별다른 진전은 없었다. 그러던 중 20.. 2021. 4. 30.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다음 300x250